목차
1. 빈곤의 기본적 면모 =13
1.1 빈곤의 현상 = 15
1.2 빈곤의 정의 = 21
1.2.1 기본적 필요 = 23
1.2.2 제도적 정의 = 26
1.2.3 '대표시민' 정의 = 27
1.2.4 종합지수 정의 = 30
1.2.5 효용함수 정의 = 32
1.3 빈곤의 원인 = 34
2. 한국 빈곤의 역사적 면모 = 41
2.1 재생산구조의 정체성 = 43
2.2 전래신앙과 종교관 = 48
2.3 발창제도Ⅰ = 50
2.4 발창제도Ⅱ = 54
2.5 발창제도Ⅲ = 58
2.6 율곡의 구폐책 = 64
2.7 발창제도의 변화 = 67
2.8 구빈, 황정의 보완 = 70
2.9 빈곤 및 흉황의 역사적 사례 = 76
2.10 일제 식민지하의 빈곤 = 81
3. 한국 빈곤의 현실 = 91
3.1 빈곤의 학술적 정의 = 93
3.2 한국의 통용 빈곤개념 = 100
3.3 한국의 빈곤선과 빈곤인구 규모의 추정 = 105
3.4 한국 빈곤의 유형 = 113
3.4.1 제1유형 : 부랑성 빈곤인구 = 114
3.4.2 제2유형 : 도시밀집성 절대빈곤층 = 114
3.4.3 제3유형 : 노약성 절대빈곤층 = 115
3.4.4 제4유형 : 전래성 절대빈곤층 = 115
3.4.5 제5유형 : 미정착 빈곤층 = 116
4. 한국 빈곤의 성격 : 표본조사 결과의 분석 = 117
4.1 조사의 배경 = 119
4.2 조사대상 및 시기 = 120
4.3 조사내용 및 항목 = 121
4.4 조사방법 및 조사구의 설정 = 122
4.5 조사결과 = 124
4.6 빈곤의 실태 = 126
1) 빈곤 가구주의 연령 = 126
2) 가구주의 성별 = 129
3) 가구주의 학력 = 130
4) 가구원 규모 = 134
5) 가구주의 혼인관계 = 137
6) 현주거지 정착경로 = 140
7) 이농년수 = 141
8) 현주거지로의 이동연유 = 142
9) 빈곤가구의 수입형태 = 143
10) 근로형태 = 144
11) 가구주 소득 = 147
12) 생업종사자가구원수 = 150
13) 빈곤가구소득 = 154
14) 빈곤가구의 생보대상 여부 = 157
15) 정부구호액의 생활비 비중 = 159
16) 생활보호정책의 만족여부 = 161
17) 빈곤가구의 주거형태 = 163
18) 현거주지에서의 기대 거주년수 = 166
19) 주거이동의 전망 = 169
20) 주거건물의 상태 = 172
21) 빈곤의 원인 = 175
22) 노동가능 가구원수 = 178
23) 취로사업의 참여여부 = 181
24) 취로사업에 대한 견해 = 184
25) 취로사업의 개선의견 = 186
26) 생활수준에 대한 전망 = 189
27) 빈곤탈피 가능성의 소재 = 191
5. 한국에서의 빈곤문화 분석 = 195
5.1 문학작품에 나타난 빈곤층의 의식 = 197
5.2 표본조사에 나타난 빈곤문화 = 205
5.2.1 표본의 특성 = 205
5.2.2 빈곤층의 의식구조 = 205
5.2.3 빈곤문화의 가족 문화적 특색 = 207
5.2.4 빈곤문화 지역사회의 특성 = 211
5.2.5 빈곤문화 전체사회의 관계 = 216
5.2.6 빈곤층의 의식구조와 사회적 요인과의 연관성 = 219
부록 : 빈곤문화에 대한 설문 = 222
6. 한국의 현행 사회보장정책 = 227
6.1 법적 차원에서의 정책 =231
6.2 행정적 차원에서의 정책 = 233
6.2.1 생활보호 = 233
6.2.2 의료보호 = 247
6.2.3 재해구호 = 252
6.2.4 생활보호 실무추진 = 254
6.3 재정적 차원에서의 정책 = 255
6.4 정책상의 관행 = 260
6.5 기타의 사회후생정책 = 262
6.5.1 사회복지정책의 관리 및 수행체계 = 262
6.5.2 시설보호를 통한 사회후생정책 = 264
6.5.3 기타 사회후생정책 = 267
7. 절대빈곤가구 사례 = 269
7.1 1980년대 초반의 빈곤 = 271
7.1.1 절대빈곤가구 사례1 : 연관공 오문덕 씨 = 271
7.1.2 절대빈곤가구 사례2 : 국민학교 소사 안흥국 씨 = 287
7.2 1980년대 후반의 빈곤 = 304
7.2.1 절대빈곤가구 사례3 : 최씨 집안의 경우 = 304
7.2.2 절대빈곤가구 사례4 : 이농가구 전운근 씨의 경우 = 313
7.3 1990년대의 빈곤 = 319
7.3.1 절대빈곤가구 사례5 : 생활보호대상자 효곤이네 = 319
7.3.2 절대빈곤가구 사례6 : 산재피해자의 아내 이옥순 씨 = 323
7.3.3 절대빈곤가구 사례7 : 비공식부문의 종사자 김씨 = 327
7.3.4 절대빈곤가구 사례8 : 고물상 오만두 씨 =330
8. 요약 및 결론 = 333
8.1 절대빈곤의 실상 = 335
8.2 한국 구빈제의 역사적 교훈 = 337
8.3 빈곤의 현실 = 338
8.4 빈곤에 관한 표본조사 설계 = 339
8.5 조사분석결과 = 340
8.6 한국의 현행 사회후생정책 = 343
8.7 기본대책 = 346
8.8 장기소득정책 = 348
8.9 장기적 인간자본정책 = 350
8.10 단기소득정책 = 352
8.11 단기적 인간자본정책 = 355
8.12 기타정책 = 356
부표 = 359
참고문헌 = 375
찾아보기 =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