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7
제1부 정학과 동학의 이원화 = 19
Ⅰ. 보편적 역사철학의 퇴화 = 21
1. 사회정학과 사회동학의 이원화 = 21
2. 선구자들 : 밀라와 꽁도르세 = 24
3. 연구대상의 축약과 이데올로기적 함의 = 29
Ⅱ. 실증주의 사회이론의 발전 = 35
1. 꽁뜨 = 35
2. 스펜서 = 42
3. 미국의 초기 사회학 = 49
4. 후기의 고전이론 = 55
Ⅲ. 실증주의 사회학의 이론모델 = 65
1. 준거틀 : 정향성과 적응성 = 65
2. 이론틀 : 합의모델과 균형모델 = 83
제2부 실증성과 사회발전 = 99
Ⅰ. 실증성의 사회과학 : 오귀스뜨 꽁뜨 = 101
1. 사상적 배경 = 101
2. 꽁뜨사상과 논리구조 = 105
3. 지적 해방으로서의 사회발전 = 114
4. 꽁뜨의 정치사상 = 130
Ⅱ. 사회유기체의 진화론적 역동성 : 허버트 스펜서 = 135
1. 사상적 배경 = 135
2. 사회의 운동원리 = 151
3. 진화론과 사회유형 = 155
4. 사회진화론과 사회학 = 159
Ⅲ. 요약 : 실증성의 사상사적 맥락 = 179
제3부 실증주의 사회학의 비판 = 197
Ⅰ. 비판과 과학의 경계에서 : 칼 맑스 = 199
1. 인간학적 비판개념 = 199
2. 수준전이와 그 근거 = 215
3. 인간학적 소외와 주체 = 223
4. 요약 : 인간학적 비판담론 = 229
5. 「자본론」에서의 비판과 과학 = 232
6. 가치와 생산가격 : 추상문제로의 회귀 = 286
7. '자본관계의 외면화'와 물신주의 = 299
8. 근원의 전이와 경계의 유월 = 317
9. 마술의 세계 = 320
10. 맺는말 = 324
Ⅱ. 자율성의 딜레마에서 : 막스 베버 = 329
1. 합리성의 문제제기와 접근방법 = 332
2. 근대적 합리성의 발전과 모순 = 340
3. 자율성의 실현 =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