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한국정치학의 방법
제1장 한국정치학의 연구방법에 대하여 - 동학을 중심으로 = 13
1. 서론 = 13
2. 이념적 구도 - 東道西器論에 대하여 = 17
3. 한국민족주의의 구조 = 22
1) 동양형적 서양성 = 22
2) 不然基然의 原理 = 28
4. 한국민족주의의 논리 = 36
1) 우주관 = 36
2) 인간관 = 42
3) 세계관 = 49
5. 과제와 관련하여 = 54
제2장 현대 정치사상의 이해 - 민족주의와 관련하여 = 61
1. 서론 = 61
2. 동학의 이념적 모델 = 64
1) 민족주의의 원형 = 64
2) 東道西器論 = 69
3. 세속적 민족주의 = 74
4. 종교적 민족주의 = 83
5. 문화적 민족주의 = 94
1) 문화와 종교 = 94
2) 문화민족주의의 전제조건 = 99
(1) 민주주의와 질서 = 99
(2) 도덕정치의 문제 = 102
(3) 소수집단의 보호 = 105
(4) 기본권(인권)의 보호 = 107
(5) 근대성과 종교국가 = 109
5. 동학의 조화이론 = 113
제3장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 구소련의 정치노선과 관련하여 = 121
1. 문제제기 = 121
2. 민족주의의 전개과정 = 123
3. 민족주의의 정치사상 = 126
1) 맑스의 민족주의론 = 126
2) 리스트의 민족주의론 = 131
3) 민족주의의 이론과 실제 = 137
4.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 141
1) 사회주의와 민족문제 = 141
2) 민족주의와 사회문제 = 146
3) 소련에 있어서 리스트와 맑스 = 151
5. 페레스트로이카 이념과 관련하여 = 155
제2부 한국민족주의의 이해
제4장 한국민족주의의 이념적 구도 = 165
1. 문제의 제기 = 165
2. 이데올로기의 시대 : 민족주의 = 167
3. 한국민족주의의 이념 = 169
1) 전개과정 = 169
2) 이념적 구도 = 170
4. 한국민족주의의 방향 = 174
제5장 한국민족주의의 정치사상 - 일제하 민족독립운동을 중심으로 = 175
1. 머리말 = 175
2. 한국민족주의의 이념 형성 = 178
1) 민족적 위기상황의 배경 = 178
2) 한국민족주의의 이론 형성 = 180
(1) 불교의 호국사상 = 180
(2) 실학의 정치사상 = 184
(3) 동학의 정치사상 = 186
(4) 개화파의 정치사상 = 188
(5) 한국민족주의의 발전 = 189
3. 한국민족주의의 정치이념 = 190
1) 만해의 불교사상 = 190
(1) 불교유신운동 = 193
(2) 민중계몽운동 = 196
(3) 정치활동 = 196
2) 단재의 민족사상 = 198
(1) 독립운동과 영웅사관(민족적 자강주의) = 199
(2) 근대국가론(시민적 민족주의) = 201
(3) 민중직접혁명론(저항민족주의) = 204
3) 소앙의 독립사상 = 207
(1) 삼균주의의 개념 = 208
(2) 삼균주의의 배경 = 209
(3) 삼균주의의 내용 = 211
(4) 삼균주의의 전개 = 213
4) 신간회의 정치사상 = 217
(1) 신간회의 배경 = 217
(2) 신간회의 성격 = 218
(3) 신간회의 해소 = 221
(4) 신간회의 의의 = 223
4. 한국민족주의의 목표 = 225
제6장 한국민족주의 정치이념 - 동학사상을 중심으로 = 229
1. 문제제기 = 229
2. 동학의 철학적 배경 = 232
3. 한국민주주의론 = 235
4. 한국민족주의론 = 238
5. 自悟力을 회복해야 = 241
제3부 미래의 세계관을 위하여
제7장 동학의 평화관 - 조화이론과 관련하여 = 247
1. 서론 = 247
2. 평화의 철학적 배경 = 250
3. 평화를 위한 정치이념 = 256
1) 造化思想에 대하여 = 257
2) 輔國安民(민족주의) = 260
3) 事人如天(민주주의) = 263
4) 同歸一體(민생주의) = 267
5) 後天開闢(문화주의) = 270
4. 집강소의 실천 = 275
제8장 동학사상과 새로운 정치질서 - 조화의 세계 = 279
1. 서론 : 동학혁명에 대하여 = 279
2. 조화사상의 이론적 근거 = 281
1) 조화사상의 유래 = 281
2) 조화이론의 근거 = 283
3. 동학의 조화사상 = 287
1) 至氣哲學 = 287
2) '侍天主'의 뜻 = 292
3) 至氣와 侍天主의 관계 = 297
4. 정치적 진로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