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66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075175 | |
005 | 20211117091531 | |
007 | ta | |
008 | 950830s1995 ulkj 000a kor | |
020 | ▼a 894602223x ▼g 93910 : ▼c \7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341.66 ▼2 21 |
090 | ▼a 341.66 ▼b 1995 | |
100 | 1 | ▼a 高木健一, ▼d 1944- ▼0 AUTH(211009)32099 |
245 | 1 0 | ▼a 전후보상의 논리 / ▼d 高木健一 지음 ; ▼e 최용기 옮김. |
246 | 1 9 | ▼a 戰後補償の論理 |
260 | ▼a 서울 : ▼b 한울, ▼c 1995. | |
300 | ▼a 220 p. : ▼b 연표 ; ▼c 23 cm. | |
700 | 1 | ▼a 최용기 ▼0 AUTH(211009)130428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110542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1105429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1105429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510240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510240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110542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1105429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1105429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5102408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41.66 1995 | 등록번호 1510240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역자서문 = 3 한국어판 저자서문 = 5 저자서문 = 7 제1부 전후보상의 논리 서장 = 15 1. 이미 늦었는가 = 15 2. 포츠담선언과 일본 헌법의 이념 = 16 3. 냉전구조에 따른 왜곡 = 19 4. 전후보상을 방해하는 여러 사정들 = 21 5. 냉전구조의 붕괴와 아시아의 민주화 = 25 6. 일본의 전후보상의 의미 = 26 7. 아시아와의 신뢰관계 확립을 위하여 = 27 제1장 전후보상에 관한 논의 = 29 1. 전후보상에 관한 논의 = 29 2. 일한조약으로 해결된 것인가 = 32 3. 여론과 역사의 흐름 = 37 제2장 전후보상이란 = 41 1. 전쟁책임과 전후책임 = 41 2. 배상, 보상과 청구권 = 45 3. 국가보상과 전후보상 = 47 제3장 일본의 전후처리는 무엇이었는가 = 51 1. 대내적 전후처리 = 51 2. 대외적 전후처리 = 56 3. 일본은 왜 '전후보상'을 하지 않았을까 = 58 제4장 전후보상의 역사와 여러 외국의 사례 = 61 1. 보상의 역사 = 61 2. 독일의 사례 = 65 3. 미국의 사례 = 70 4. 캐나다의 사례 = 73 제5장 전후보상의 법적 근거 = 75 1. 포츠담선언에서 나오는 보상 = 75 2. 일본 헌법에서 이끄는 보상 = 77 3. 인도(人道)에 대한 죄 = 79 4. 개인 보상·청구권 = 87 제2부 전후보상을 요구하는 사람들 제1장 사할린 잔류 한국·조선인 = 99 1. 강제연행 = 100 2. '결자해지(結者解之)' = 102 3. 전후의 고난 = 103 4. 보상청구재판 = 107 제2장 재한 피폭자 = 110 1. 삼중고에 신음하는 재한 피폭자 = 110 2. 손진두 재판의 의의 = 112 3. 도일치료(渡日治療)의 실현과 그 후 = 114 4. 일본의 시민운동과의 연대 = 115 제3장 BC급 조선인 전범 = 118 제4장 조선인 군인·군속 = 124 1. 군인·군속 = 124 2. 한국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운동 = 131 제5장 조선인 종군 위안부 = 135 제6장 중국, 대만의 피해자들 = 143 1. 중국인 강제연행과 하나오카(花岡)사건 = 143 2. 대만의 전 일본병 = 148 3. 홍콩 군표문제(香港 軍票問題) = 154 제7장 아시아·태평앙 각 지역에서의 소리 = 158 1. 필리핀 - 학살과 종군위안부 = 158 2. 말레이시아 - 태면철도(泰緬鐵道)의 '로무샤(勞務者)' = 160 3. 인도네시아의 전 병보(兵補) = 164 4. 파라오 정신대 = 167 5. 파푸아 뉴기니 틴분케 마을의 학살 = 171 6. 마샬 제도 학살사건 = 174 7. 알류트인 강제이주와 보상 = 175 8. 재일한국인 전상자(戰傷者) = 179 9. 강제연행 노동자와 기업책임 = 183 제3부 전후보상의 실현을 위하여 제1장 일본정부의 변화 = 189 제2장 전후보상 문제의 현단계 = 192 제3장 전후보상 문제를 둘러싼 국제적 전개 = 197 제4장 이후의 문제 = 199 전후보상관계연표 = 203 후기 =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