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 언어를 다루는 기술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 언어를 다루는 기술 (4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Ong, Walter. J, 저 이기우, 역 임명진, 역
서명 / 저자사항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 언어를 다루는 기술 / 월터 J.옹 지음 ; 이기우 , 임명진 공역
발행사항
서울 :   문예출판사,   1995  
형태사항
301 p. ; 23 cm
총서사항
人文社會科學叢書
원표제
Orality and literacy
ISBN
8931002548
000 00839camcc2200277 k 4500
001 000000071928
005 20110608093545
007 ta
008 950825s1995 ulk 000a kor
020 ▼a 8931002548 ▼g 03800 : ▼c \85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049 1 ▼l 111053713 ▼l 111053714 ▼l 111053715
082 0 4 ▼a 302.224 ▼2 21
085 ▼a 302.224 ▼2 DDCK
090 ▼a 302.224 ▼b 1995
100 1 ▼a Ong, Walter. J, ▼e▼0 AUTH(211009)18724
245 1 0 ▼a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 ▼b 언어를 다루는 기술 / ▼d 월터 J.옹 지음 ; ▼e 이기우 , ▼e 임명진 공역
246 1 9 ▼a Orality and literacy
260 ▼a 서울 : ▼b 문예출판사, ▼c 1995
300 ▼a 301 p. ; ▼c 23 cm
490 1 0 ▼a 人文社會科學叢書
700 1 ▼a 이기우, ▼e
700 1 ▼a 임명진, ▼e▼0 AUTH(211009)41311
830 0 ▼a 人文社會科學叢書 (문예출판사)
950 0 ▼b \85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0537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0537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2934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2934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30663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16 예약 서비스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510224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510224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0537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0537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2934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2934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1130663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16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510224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청구기호 302.224 1995 등록번호 1510224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월터 J. 옹(지은이)

미국 예수회 신부이자 고전연구자·신학자·매체론자·문학비평가. 미국 캔자스시티에서 태어나 록허스트대학에서 고전학을 전공하였으며, 1935년 예수회에 입회하여 카톨릭 사제의 길을 걸었다. 세인트루이스대학교에서 맥루언(M. McLuhan)의 지도로 영국 시인 홉킨스(G. M. Hopkins)를 연구해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1954년에는 하버드대학교에서 밀러(P. Miller)의 지도로 프랑스 교육개혁자인 라무스(P. Ramus)의 수사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약 30년간 세인트루이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고, 한때 백악관 교육 TF팀,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의 연구원, 미국밀턴학회 회장, 미국현대언어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2003년 미국 미주리 주에서 사망했다. 중세 수사학을 연구하면서 언어의 구술성과 문자성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이후 커뮤니케이션·미디어 기술이 인간의 말과 사고에 미친 영향력을 꾸준히 탐구했다. 이런 연구 결과들을 Ramus, Method, and the Decay of Dialogue(1958), The Presence of the Word(1967), Rhetoric, Romance, and Technology(1971), Interfaces of the Word(1977) 등의 저술로 발표하였고, 뒤에 이를 정리하여 Orality and Literacy :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1982)로 종합하였다. 그는 이런 일련의 저술을 통하여 언어와 관련된 미디어가 언어를 보전하고 확장하고 변경하는 데 어떻게 이용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이용 방식이 인간의 의식이나 사고 패턴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연구했다. 이 밖에 그의 저술로는 Frontiers in American Catholicism(1957), The Barbarian Within(1962), In the Human Grain(1967), Hopkins, the Self, and God(1986), Faith and Contexts(1992~1999), An Ong Reader(2002) 등이 있다.

임명진(옮긴이)

전북대 명예교수이자 문학비평가. 전북 장수 출생으로 전북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한국문학을 공부하였다. 198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었다. 1991~2018년 전북대 국문과 교수 재직 시 주로 문학비평론·한국현대문학사·현대소설론 등을 강의하였다. 현대문학이론학회장,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 전북작가회의 회장, 한국언어문학회장, 전북민예총 회장, 6·15공동선언실천전북본부 상임의장 등을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제3세대 비평문학』(1987, 공저), 『문학의 비평적 대화와 해석』(1997), 『판소리의 공연예술적 특성』(2003, 공저), 『한국 근대소설과 서사전통』(2004), 『탈경계의 문학과 비평』(2008), 『한국 현대문학과 탈식민성』(2012, 공저), 『탈식민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현대문학사』(2015)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문학의 의미』(1985)가 있으며, 엮은 책으로는 『호남좌도 풍물굿』(1994, 이하 공편), 『호남우도 풍물굿』(1995), 『페미니즘 문학론』(1996), 『판소리 단가』(2003), 『전북문학지도 1·2·3』(2004~6) 등이 있다.

이기우(옮긴이)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9

1. 언어의 구술성 = 13

 1. 문자성에 익숙한 정신과 구술성에 입각한 그 과거 = 13

 2. '구전문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 21

2. 일차적인 구술성에 대한 최근의 발견 = 30

 1. 구술적 전통에 대한 초기의 주목 = 30

 2. 호머의 문제 = 32

 3. 밀만 페리의 발견 = 36

 4. 후속 연구와 관련 연구 = 46

3. 구술성의 정신역학 = 52

 1. 힘과 행위로서의 음성 언어 = 52

 2. 생각해낼 수 있어야 안다 : 기억술과 정형구 = 55

 3. 구술문화에 입각한 사고와 표현의 특징들 = 60

  1) 종속적이라기보다는 첨가적이다 = 61

  2) 분석적이라기보다는 집합적이다 = 63

  3) 장황하거나 '다변적'이다 = 65

  4) 보수적이거나 전통적이다 = 67

  5) 인간의 생활세계에 밀착된다 = 69

  6) 논쟁적인 어조가 강하다 = 71

  7) 객관적 거리 유지보다는 감정이입적 혹은 참여적이다 = 74

  8) 항상성이 있다 = 75

  9) 추상적이라기보다는 상황의존적이다 = 79

 4. 구술문화의 기억 형성 = 92

 5. 목소리에 의지하는 생활 양식 = 107

 6. 영웅적이고 '무거운' 인물과 괴팍한 인물의 인식적 구실 = 110

 7. 소리의 내면성 = 112

 8. 구술성, 공동체 그리고 성스러운 것 = 117

 9. 말은 기호가 아니다 = 118

4. 쓰기는 의식을 재구조화한다 = 123

 1. 자율적인 담론의 새로운 세계 = 123

 2. 플라톤, 쓰기 그리고 컴퓨터 = 124

 3. 쓰기는 하나의 기술이다 = 128

 4. '쓰기' 또는 '스크립트'란 무엇인가 = 131

 5. 스크립트는 많으나 알파벳은 오직 하나 = 134

 6. 문자성의 시작 = 144

 7. 기억으로부터 씌어진 기록에까지 = 148

 8. 텍스트성의 역동성 = 156

 9. 거리, 정확성, 기록방언, 그리고 대량의 어휘 = 160

 10. 쓰기와 구술성의 상호작용(1) : 수사학과 그것이 쓰이는 장소 = 166

 11. 쓰기와 구술성의 상호작용(2) : 학술 언어 = 171

 12. 구술성의 완고성 = 176

5. 인쇄, 공간 그리고 닫혀진 텍스트 = 179

 1. 청각의 우위에서 시각의 우위로 = 179

 2. 공간의 의미 = 187

  1) 색인 = 187

  2) 책, 내용 그리고 레테르 = 191

  3) 의미 있는 판면 = 192

  4) 활자 공간 = 194

 3. 한층 광범위한 영향 = 196

 4. 인쇄와 폐쇄 : 상호텍스트성 = 199

 5. 후기 활자 : 전자 = 204

6. 구술적인 기억, 줄거리 그리고 성격 = 209

 1. 줄거리의 기본 = 209

 2. 내러티브와 구술문화 = 210

 3. 구술적인 기억과 줄거리 = 212

 4. 플롯의 폐쇄 : 추리소설에 대한 여행담 = 220

 5. '입체적' 인물, 쓰기 그리고 인쇄 = 225

7. 몇 가지 정리(定理) = 232

 1. 문학사 = 233

 2. 신비평과 형식주의 = 238

 3. 구조주의 = 243

 4. 텍스트주의자와 탈구조주의자 = 246

 5. 언어행위론과 독자반응론 = 252

 6. 사회과학, 철학, 성서 연구 = 255

 7. 구술성, 쓰기 그리고 인간적인 것 = 258

 8. '미디어' 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 261

 9. 내면에의 희귀 : 의식과 텍스트 = 264

참고문헌 = 267

옮긴이의 말 = 288

찾아보기 = 291



관련분야 신착자료

Pegrum, Mark (2022)
Kylie Jarrett (2022)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