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行政改革의 의미
Ⅰ. 行政改革論의 일반적 관점 = 1
Ⅱ. 行政改革의 정의 = 4
Ⅲ. 行政改革의 과정 = 10
1. 改革行動過程의 段階에 관한 여러 가지 견해 = 10
2. 改革行動過程의 기본단계 = 14
Ⅳ. 行政改革의 추진 = 21
1. 行政改革의 촉발 = 22
2. 改革推進者 = 24
Ⅴ. 行政改革에 대한 抵抗 = 30
1. 抵抗의 정의 = 30
2. 抵抗의 기능 = 31
3. 抵抗의 원인 = 33
4. 抵抗克服의 전략 = 37
제2장 行政改革의 接近方法
Ⅰ. 接近方法의 개요 = 43
1. 接近方法의 다양한 분류 = 44
2. 接近方法의 기본적 범주 = 45
Ⅱ. '組織發展' : 行態的 接近方法 = 47
1. 組織發展의 연혁과 관점 = 48
2. 組織發展의 정의 = 53
3. 組織發展의 기본적 과정 = 60
4. 組織發展의 介入技法 = 67
제3장 目標狀態理論의 변천
Ⅰ. 理論變遷의 줄거리 = 91
1. 官僚化의 처방 = 92
2. 脫官僚化의 처방 = 94
Ⅱ. 古典的 官僚制模型 = 97
1. Weber의 官僚制理念型 = 99
2. 管理過程學派의 고전적 조직원리 = 103
3. 正統官僚制의 우월성과 병폐 = 110
Ⅲ. 官僚制修正模型 = 117
1. 古典的 原理 修正의 개요 = 117
2. 複合構造 = 122
3. 牽引理論에 입각한 構造 = 127
Ⅳ. 反官僚制模型 = 132
1. Bennis의 '適應的·有機的 構造' = 133
2. Kirkhart의 '聯合的 理念型' = 136
3. Thayer의 '階序制 타파' = 138
4. White, Jr.의 '脫境界理論' = 143
Ⅴ. 人間管理戰略의 변천 = 147
1. 經濟的·合理的 人間 : 古典的 模型 = 149
2. 社會的 人間 : 新古典的 模型 = 152
3. 自己實現的 人間 : 現代的 模型 = 154
제4장 '實踐的' 行政改革處方
Ⅰ. 實踐的 處方의 예 = 157
Ⅱ. '企業家的 政府'의 처방 = 159
1. 실태비판 = 160
2. 企業家的 公共組織의 원리 = 160
Ⅲ. '卓越性基準'의 처방 = 166
1. 卓越性의 정의 = 167
2. 卓越性의 기준 = 167
Ⅳ. '代表官僚制'의 처방 = 171
1. 代表官僚制의 정의 = 172
2. 代表官僚制 정당화의 논점 = 175
3. 代表官僚制의 추진전략 = 177
4. 代表官僚制의 처방에 대한 비판 = 180
5. 代表官僚制의 原理와 實績主義 = 182
Ⅴ. '減縮管理'와 '民間化'의 처방 = 183
1. 減縮管理 = 184
2. 民間化 = 193
Ⅵ. '總合的·一體的 行政體制'의 처방 = 200
1. 內外情勢變化와 정부의 역할 = 200
2. 總合的·一體的 行政體制의 구축 = 202
Ⅶ. '일은 잘 하고 비용은 덜 드는 정부의 창출'에 관한 처방 = 206
1. 國家業務評價委員會의 설치 = 207
2. 問題認知·改革原理와 基本方向 = 209
3. 改革方案의 처방 = 211
제5장 大韓民國의 行政改革
Ⅰ. 大韓民國政府 수립 이후의 行政改革 = 225
Ⅱ. 第1共和國의 行政改革 = 226
1. 中央行政構造의 형성과 개편 = 228
2. 行政機能의 개혁 = 229
3. 行政人力의 구성 = 230
4. 地方自治制의 도입 = 231
5. 反腐敗活動 = 232
6. 行政改革의 성격 = 233
Ⅲ. 第2共和國의 行政改革 = 234
1. 中央行政構造의 개편 = 235
2. 行政人力刷新의 시도 = 237
3. 地方自治의 강화 = 237
4. 反腐敗活動 = 238
5. 行政改革의 성격 = 239
Ⅳ. 軍政期間의 行政改革 = 240
1. 中央行政構造의 개편 = 241
2. 行政機能의 개혁 = 243
3. 地方自治의 정지 = 244
4. 反腐敗活動 = 244
5. 行政改革의 성격 = 245
Ⅴ. 第3共和國의 行政改革 = 247
1. 中央行政構造의 개편 = 247
2. 行政機能의 개혁 = 249
3. 地方自治의 계속적인 정지 = 250
4. 反腐敗活動 = 251
5. 行政改革의 성격 = 252
Ⅵ. 維新體制의 行政改革 = 253
1. 中央行政構造의 개편 = 253
2. 行政機能의 개혁 = 255
3. '庶政刷新運動'과 反腐敗活動 = 256
4. 行政改革의 성격 = 259
Ⅶ. 第5共和國의 行政改革 = 260
1. 中央行政構造의 개편 = 261
2. 行政機能의 개혁 = 263
3. '社會淨化運動'과 反腐敗活動 = 263
4. 行政改革의 성격 = 267
Ⅷ. 第6共和國 盧泰愚行政府의 行政改革 = 268
1. 中央行政構造의 개편 = 269
2. 行政機能의 개혁 = 270
3. 地方自治의 부활 = 272
4. 行政改革委員會의 활동 = 273
5. '새 秩序·새 生活 運動'과 反腐敗活動 = 275
6. 行政改革의 성격 = 278
Ⅸ. 第6共和國 金泳三行政府의 行政改革 = 279
1. 正當性復元 노력과 行政改革 = 280
2. 行政刷新委員會의 활동 = 285
3. '新韓國創造運動'과 反腐敗活動 = 287
4. 行政改革의 성격 = 290
제6장 韓國行政의 진로
Ⅰ. 韓國社會의 변동추세 = 293
1. 産業化社會와 情報化社會의 일반적 특성 = 294
2. 우리 社會의 변화추정 = 300
Ⅱ. 改革必要性의 증폭 : 行政의 병폐 = 314
1. 改革壓力과 行政現實의 낙후성 = 314
2. 우리나라 行政體制의 적폐 = 315
Ⅲ. 行政改革의 방향설정 = 321
1. 行政改革의 原理 = 322
2. 目標體系의 내재화 = 329
3. 行政構造의 개혁 = 330
4. 行政過程의 개혁 = 336
5. 人的 資源管理의 개혁 = 340
6. 財政資源管理의 개혁 = 341
7. 民願行政의 개혁 = 342
8. 行政指導의 개혁 = 344
제7장 '發展行政'과 行政體制
Ⅰ. 우리 행정의 發展行政的 遺産 = 347
Ⅱ. 發展行政學의 성격 = 349
1. 發展行政의 정의 = 350
2. 발자취·特性·批判 = 355
Ⅲ. 發展途上國의 조건 = 362
1. 國家類型論과 發展途上國 = 363
2. 發展途上國의 일반적 조건 = 369
Ⅳ. 國家發展과 行政體制 = 375
1. 國家發展 = 376
2. 國家發展을 위한 行政體制의 역할 = 380
3. 行政發展의 필요성 = 389
索引
人名索引 = 395
事項索引 =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