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行政의 뜻과 범위 = 11
1.1 行政의 뜻 = 11
1.2 範圍 = 14
제2장 史的 變遷 = 17
2.1 朝鮮時代 = 17
Ⅰ. 環境 = 17
Ⅱ. 行政 = 21
Ⅲ. 成果 = 22
2.2 日帝時代 = 23
Ⅰ. 環境 = 23
Ⅱ. 行政 = 25
Ⅲ. 成果 = 27
2.3 韓國時代 = 27
Ⅰ. 環境 = 28
Ⅱ. 行政 = 30
Ⅲ. 成果 = 32
2.4 特徵 = 32
2.5 韓國行政人의 형태 = 34
Ⅰ. 長點 = 35
Ⅱ. 短點 = 39
제3장 行政의 민주화 = 59
3.1 政治發展과 行政의 민주화 = 60
3.2 政治發展의 요인과 과정 = 62
3.3 行政民主化의 구현 = 76
제4장 行政硏究의 역사와 접근방법 = 81
4.1 行政硏究의 여건 = 81
Ⅰ. 行政面 = 83
Ⅱ. 經濟面 = 83
Ⅲ. 政治面 = 85
4.2 行政硏究史 = 87
Ⅰ. 朝鮮時代 = 91
Ⅱ. 日帝時代 = 98
Ⅲ. 韓國時代 = 104
4.3 接近方法 = 120
Ⅰ. 巨視的 接近 - 관리과정 = 123
Ⅱ. 微視的 接近 - 의사결정 = 123
제5장 行政理論의 변천과 평가 = 141
5.1 政治와 行政 = 143
5.2 科學과 技術 = 150
5.3 行政理念 = 154
5.4 行政變數 = 161
5.5 評價 = 164
제6장 行政의 목표와 이념 = 169
6.1 行政의 목표 = 170
Ⅰ. 政治 = 174
Ⅱ. 經濟 = 175
Ⅲ. 社會 = 176
Ⅳ. 安保 = 178
Ⅴ. 統一 = 181
6.2 理念 = 183
Ⅰ. 民主性 = 184
Ⅱ. 合法性 = 187
Ⅲ. 效果性 = 191
Ⅳ. 能率性 = 193
Ⅴ. 理念간의 갈등 = 196
제7장 政策決定 = 199
7.1 意義와 決定過程 = 199
7.2 參與者 = 203
Ⅰ. 行政官 = 205
Ⅱ. 專門家 = 209
Ⅲ. 利益團體 = 211
Ⅳ. 政黨·國會 = 216
Ⅴ. 輿論(一般國民) = 218
Ⅵ. 政務官 = 220
Ⅶ. 行政人의 역할 = 223
7.3 公益法-규범적 기준 = 228
Ⅰ. 公益의 개념 = 228
Ⅱ. 公益決定의 변수 = 234
Ⅲ. 現實適用 = 236
7.4 合理性의 제약 = 238
Ⅰ. 決定人(行政人) = 239
Ⅱ. 行政構造 = 242
Ⅲ. 環境 = 245
제8장 分業體制 = 247
8.1 官僚制性 = 247
Ⅰ. 家産的 官僚制 = 250
Ⅱ. 近代的 官僚制 = 251
Ⅲ. 修正論 - (1) = 252
Ⅳ. 修正論 - (2) = 255
Ⅴ. 韓國官僚制의 복합성과 발전 = 257
8.2 分業體制性 = 262
Ⅰ. 橫的 分業 = 262
Ⅱ. 縱的 分業 = 272
Ⅲ. 統合 = 274
제9장 資源 = 281
9.1 人力 = 283
Ⅰ. 充員 = 284
Ⅱ. 配置 = 287
Ⅲ. 發展機能 = 288
9.2 財力 = 289
Ⅰ. 動員 = 290
Ⅱ. 配分 = 292
Ⅲ. 統制와 發展機能 = 293
9.3 情報 = 296
Ⅰ. 特性 = 296
Ⅱ. 情報의 수집과 이용 = 297
Ⅲ. 發展機能 = 301
9.4 政治的 支援 = 302
Ⅰ. 意義 = 302
Ⅱ. 動員 = 303
9.5 時間 = 305
Ⅰ. 特性 = 305
Ⅱ. 活用 = 305
제10장 動作化와 統制 = 307
10.1 動作化 = 307
Ⅰ. 組織內部 = 308
Ⅱ. 組織外部(行政과 社會變化) = 315
10.2 統制 = 337
Ⅰ. 評價 = 338
Ⅱ. 是正措置 - 改革 = 343
제11장 結語 - 韓國의 行政과 行政學 = 353
11.1 韓國의 行政 = 353
11.2 韓國의 行政硏究 = 358
참고문헌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