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Ⅰ. 철학적 고찰 = 2
1. 언어와 실재론과 칸트의 선험론 = 2
2. 언어의 개인성 = 5
3. 언어의 보편성과 대뇌-생리적 가설 = 10
Ⅱ. 심리학적 고찰 = 13
1. 어휘와 인지적 범주론 = 14
2. 행동주의적 언어심리학 = 17
Ⅲ. 언어학적 고찰 = 19
1. 언어학의 언어의 정의 = 19
2. 언어의 법칙성과 문장론과 의미론 = 21
제2장 언어의 본질
Ⅰ. 음운론 = 25
1. 말소리의 발성법 = 26
(1) 발동부 = 27
(2) 발성부 = 27
(3) 발음부 = 28
2. 말소리와 감각, 느낌 그리고 사고 = 29
(1) 말소리와 감각 = 30
(2) 말소리와 느낌 = 30
(3) 말소리와 사고 = 31
Ⅱ. 문장론 = 32
1. 문법의 두 가지 전통 = 33
2. Noam Chomsky의 문장론 = 33
3. Sydney Lamb의 계층문법 = 35
4. 문장의 규칙과 사고의 법칙 = 37
Ⅲ. 의미론 = 38
1. 분석적 정의 = 40
(1) 참고물의 포함 = 41
(2) 정신론과 기계론 = 42
(3) 육체와 영혼의 형이상학 = 43
2. 조작적-상황적 정의 = 43
제3장 자연언어와 인지
Ⅰ. 언어와 사고 = 49
1. 언어와 사고의 有關論 = 50
(1) 사고가 언어를 생성하는가? =50
(2) 선천적 보편문법 = 52
(3) Jerry Fodor의 '사고의 언어' = 55
2. 언어와 사고의 사회적 有關論 = 57
(1) 정신의 역사·사회적 접근 = 57
(2)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와 사고 = 59
(3) 정신에 대한 언어의 중재 = 60
3. 언어와 사고의 無關論 = 61
(1) 대상 영속성 개념과 언어 = 62
(2) 공간과 시간개념과 언어 = 64
(3) 인과성의 개념과 언어 = 65
Ⅱ. 언어와 문화 = 67
1. 언어의 상대성 가설 = 67
(1) 도구와 사고 = 69
(2) 언어와 사고의 유관론과 상대성 가설 = 70
2. 언어의 보편성 가설 = 71
(1) 묘사적 의미론의 보편성 = 71
(2) 역사적 의미론 = 73
(3) 의미의 보편성과 보편적 진리 = 75
Ⅲ. 언어와 개념 = 76
1. 자연범주 개념과 언어 = 77
(1) 가족적 유사성 = 78
(2) 원형이론 = 80
(3) 범주의 실재론과 자연범주 = 81
(4) 언어와 자연범주 = 82
2. 유명범주와 언어 = 84
(1) Locke의 언어철학과 범주론 = 85
(2) Piaget의 범주론 = 87
(3) 理性과 범주 = 89
(4) 유명범주와 언어 = 92
Ⅳ. 언어와 지능 = 94
1. Charles Spearman과 언어 = 95
2. Leon Thurstone과 언어 = 97
3. Edward Thorndike와 언어 = 99
4. Cyril Burt와 언어 = 101
5. David Wechsler와 언어 = 103
6. Binet-Simon과 언어 = 104
7. Robert Sternberg와 언어 = 106
8. 한국의 전통적 지능의 개념과 언어 = 108
제4장 형식적 언어와 인공언어
Ⅰ. 논리·수학적 언어 = 117
Piaget-Inhelder의 형식적 언어 모형 = 117
(1) 가법의 논리와 자연언어 = 118
(2) 계열화의 논리와 자연언어 = 120
(3) 위상학의 논리와 자연언어 = 122
(4) 전제적 논리와 자연언어 = 123
(5) 형식적 논리와 자연언어 = 125
Ⅱ. 인공언어 = 128
1. 인공지능적 접근과 개념 = 129
2. 신경회로망 접근과 개념 = 132
3. Roger Schank의 인공지능의 문장론 = 136
제5장 자연언어와 情緖
Ⅰ. 언어와 정서적 상징 = 141
Ⅱ. 정서적 언어와 성격 = 150
Ⅲ. 언어와 정신치료 = 156
1. 肉化된 개인의 욕구와 언어 = 157
2. 이질적 욕구와 언어 = 159
3. 인지적 사고의 부재와 정신분석적 언어 = 160
4. Freud적 언어와 정신치료 = 161
Ⅳ. 언어와 美-詩와 문학 = 162
1. 절대정신 = 162
2. 변증법과 Hegel의 미학 = 163
3. 내용과 형식의 관계 = 164
4. Hegel의 예술형식과 詩美學 = 165
5. 詩와 언어와 관념 = 167
6. 한국의 전통적 詩의 예술과 美 = 168
제6장 자연언어와 사회구조
Ⅰ. 사회계급과 언어형식 = 173
1. 정교한 언어규칙 = 174
2. 제한된 언어규칙 = 176
3. 언어적 결손 對 차이의 가설 = 177
4. 언어와 사회·경제적 상대성 이론 = 179
5. 언어의 사회-의미적 세트와 사회계급 = 182
6. 언어와 사회계층과 교육 = 186
(1) 인간과 기술중심의 언어교육 = 186
(2) 능동 對 수동의 사회적 관계 = 188
(3) 자아통제 對 지시교훈적 언어교육 = 189
(4) 언어와 사회계층과 교육의 도표 = 190
Ⅱ. 언어형식과 사회적 정신구조 = 191
1. 사회계층, 언어코드 그리고 정신 = 191
2. 언어형식과 사회계층의 순환론 = 195
(1) 사회계층과 언어형식의 순환논리 = 196
(2) 언어-명제적 표상과 사회계층 = 198
(3) 논리·수학적 표상과 사회계층 = 199
제7장 언어발달심리학
Ⅰ. 언어발달이론의 개관 = 204
1. 인지-개인적 이론 = 204
2. Fodor의 사고의 언어이론과 언어발달 = 207
3. Wittgenstein의 사회언어학적 언어발달이론 = 209
4. 언어발달 對 언어학습 = 211
Ⅱ. 음운론의 발달 = 214
1. 말소리 지각 = 214
(1) 유아기의 말소리의 독특성 = 214
(2) 정지자음의 범주적 지각 = 215
(3) 언어기능의 대뇌 반구화 = 218
(4) 음소지각 = 221
2. 말소리 생산 = 222
(1) 옹알이 = 222
(2) Jakobson의 음성론 발달이론 = 223
(3) 음성론 발달의 과정 = 225
(4) 음성론 발달의 연구 문제들 = 227
Ⅲ. 문장론의 발달 = 228
1. 아동의 초기문법 = 229
(1) 전보적 문법 = 229
(2) Pivot-Open문법 = 232
(3) Schlesinger의 초기문법 = 235
(4) Filmore의 초기격문법 = 238
(5) 문법적 어휘 순서와 인지적 의식의 구조적 법칙과의 관계 = 241
2. 아동의 후기문법 = 243
(1) Schlesinger의 후기문법 = 243
(2) Fillmore의 후기격문법 = 245
(3) Bloom의 아동의 후기문법 = 250
3. Brown의 14형태소의 발달이론 = 253
Ⅳ. 의미론의 발달 = 264
1. 초기 참조어휘의 발달 = 265
(1) 명사의 발달 = 266
(2) 동사/단순형용사의 발달 = 269
2. 관계적 어휘의 의미의 발달 = 272
(1) 공간 형용사의 발달 = 272
(2) 긍정적/부정적 양극성의 형용사의 발달 = 273
3. 의미의 발달의 미완성적 여백 = 274
(1) 명사/형용사의 의미의 구조적 법칙의 제시 = 274
(2) 동사의 조작적 법칙의 제시 = 275
(3) 공간관계적 의미의 정식화 = 276
제8장 글 읽기와 언어심리학
Ⅰ. 글 읽기의 체제적 접근 = 280
1. 읽기의 視知覺的 요소 = 281
(1) 문자재인의 결정요소 = 281
(2) 순간적 보기에서의 약호화 = 282
(3) 문자의 판단 = 282
(4) 기억력 = 283
2. 문자의 의미의 인식 = 283
3. 의미의 인식과 인지구조 = 285
Ⅱ. 문법과 글 읽기 = 286
1. 문법의 지식과 읽기 = 286
2. 인지법칙과 문법과 읽기 = 287
Ⅲ. 읽기의 계층적 접근 = 288
Ⅳ. 글 읽기와 視覺知能 = 289
Ⅴ. 글 읽기의 역사적 고찰 = 291
1. 읽기의 두 가지 논점 = 291
(1) 의미의 이해 = 291
(2) 문자의 재인 = 292
2. 문자의 역사 = 292
(1) 그림에서 어표로 = 293
(2) 음절문자 = 294
(3) 알파베트 = 295
3. 미국의 읽기교육의 역사 = 295
(1) 식민지 시대 = 295
(2) 의미 우선의 교육 = 296
(3) 의미 우선의 교육에 대한 반대 = 296
4. 문자와 의미의 조화 = 297
제9장 언어의 이상행동
Ⅰ. 발달의 방향 = 299
1. 구체에서 추상으로 = 300
(1) 동물의 의식 = 300
(2) 아동의 의식 = 300
(3) 언어의 역사 = 301
(4) 실어증 = 302
(5) 정신분열증 = 302
2. 구체로의 퇴행 = 303
3. Brown의 비판 = 305
Ⅱ. 이상행동 = 307
1. 실어증 = 307
(1) 수용 실어증 = 307
(2) 동작 실어증 = 307
(3) 연상 실어증 = 308
(4) 색채 명명 능력의 부재 = 308
2. 정신분열증과 언어능력 = 308
Ⅲ. 언어의 이상행동과 인지적 이상행동 = 309
제10장 비교언어심리학
Ⅰ. 동물의 언어체제 = 312
1. 꿀벌의 춤 = 312
2. 돌핀의 언어 = 313
3. 원숭이의 언어 = 314
Ⅱ. 인간의 언어와 동물의 신호의 비교 = 315
1. 소리의 유사성과 차이 = 315
2. 상징의 유사성과 차이 = 316
3. 결합의 법칙의 유사성과 차이 = 317
Ⅲ. 인간의 언어를 학습한 동물의 사례 = 318
1. Washoe의 언어 = 318
2. Sarah의 언어 = 319
Ⅳ. 동물의 언어행위의 암시 = 320
제11장 인간과 언어의식
Ⅰ. 언어의식 = 323
Ⅱ. 지식과 인간의 행동 = 324
참고문헌 = 327
찾아보기 =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