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94camccc2002171k 4500 | |
001 | 000000017479 | |
005 | 20100805095425 | |
007 | ta | |
008 | 941202s1993 ulkacj 000a kor | |
020 | ▼a 8975970337 ▼g 33800 : ▼c \7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421116675 ▼f 과개 ▼l 421116676 ▼f 과개 |
082 | 0 4 | ▼a 791.437 ▼2 21 |
085 | ▼a 4980 ▼2 KDCP | |
090 | ▼a 791.437 ▼b 1993 | |
100 | 1 | ▼a 임권택 |
245 | 1 0 | ▼a 서편제 : ▼b 영화이야기 / ▼d 임권택 편저. |
246 | 0 8 | ▼a 서편제 영화이야기 |
260 | ▼a 서울 : ▼b 하늘, ▼c 1993. | |
300 | ▼a 259 p. : ▼b 색채삽도, 초상화, 연표 ; ▼c 26 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791.437 1993 | 등록번호 4211166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791.437 1993 | 등록번호 4211166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임권택(엮은이)
그는 영화광 세대로 성장하지 않은, 직업으로서 영화를 만든 사람으로, 수 십년의 경륜에서 우러나는 경험과 본능적인 감각을 엮어 한국 고유의 정서와 인생의 깊이를 그려내는 데 탁월한 능력을 지닌 감독. 소도구 조수, 조명 조수를 거치며 충무로의 전통적 도제 시스템을 통해 경험을 쌓으며 성장. 51번째 영화인 73년작 <잡초>부터 작가 의식을 담기 시작했다고 자평하며, 동양적 여백의 미가 가득한 영상과 인본주의적 지향의 작품을 만들어왔다. 81년 <만다라>가 베를린영화제 본선에 진출한 데 이어 86년 <길소뜸>으로 또한번 베를린영화제 본선에 진출했으며, 86년 <씨받이>로 국내 처음 베니스 영화제 여우주연상(강수연)을 수상, 이듬해 몬트리올에서 <아다다>로 다시 여우주연상(신혜수)을 수상했다. <증언>으로 13회 대종상(특별상 감독), <족보>로 17회 대종상, <만다라>로 20회 대종상, <왕십리>로 12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낙동강은 흐르는가>로 13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안개 마을>로 19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 국내 영화 사상 최고 흥행작 <장군의 아들>을 거치면서 92번째 작품인 <서편제>로 상해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고 한국영화 사상 최고의 흥행을 거두며 명실공히 한국 최고의 거장이 되었다. <춘향뎐>으로 칸느 영화제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2년 <취화선>으로 마침내 칸느 감독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2005년 베를린 영화제에서는 그간 영화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공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목차
목차 1. 시나리오 / 김명곤 = 22 2. 제작일지 / 태흥영화사 제작부 = 69 3. 인터뷰 / 김경례 ; 윤용주 = 116 4. 컬럼 / 고은 ; 박완서 외 = 148 5. 영화평 / 정중헌 외 = 163 6. 신문사설과 신문기사 / 문화일보 외 = 177 7. 대담(서편제)감독 VS 영화평론가 / 정성일 = 190 8. (서편제)와 음악 / 설성경 ; 윤용주 = 208 9. (서편제)를 촬영한 곳 여행가이드 / 표성흠 = 214 10. 대학신문과 하이텔 통신에 등장한 (서편제) / 임미랑 외 = 222 11. 영화팬 100인이 말하는 '내가 본 (서편제)' = 234 12. 눈여겨 볼만한 자료…감독연표 외 =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