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과학적 연구의 의미와 논리 = 17
제1절 연구의 의미 = 17
제2절 연구방법의 유형 = 18
1. 권위적 방법 = 19
2. 신비적 방법 = 20
3. 논리적-합리적 방법 = 21
4. 과학적 방법 = 22
제3절 과학적 방법의 기본가정 = 24
1. 자연에는 질서와 규칙성이 있다 = 25
2. 모든 사건에는 원인이 있다 = 25
3. 자연현상은 이해될 수 있다 = 27
4. 자명한 지식은 없다 = 27
5. 진리는 상대적이다 = 28
6. 경험과 관찰은 지식의 원천이다 = 28
제4절 과학적 연구과정에서의 논리체계 = 29
1. 연역적 논리와 귀납적 논리의 개관 = 29
2. 연역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30
3. 귀납적 논리에 의한 추론방법 = 31
4.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 32
주요 추천문헌 = 34
제2장 과학적 연구의 목적과 유형 = 35
제1절 사회과학 연구의 목적 = 35
1. 현상의 기술 = 36
2. 과학적 설명 = 36
3. 미래상태의 예측 = 38
4. 통제 = 39
제2절 과학적 조사연구의 유형 = 40
1. 탐색적 조사연구 = 41
2. 기술적 조사연구 = 43
3. 설명적 조사연구 = 45
제3절 행정 및 정책문제의 조사연구 = 47
1. 행정현상과 행정변수 = 47
2. 정책결정의 단계 = 48
3. 정책결정의 단계와 경험적 조사연구 = 52
주요 추천문헌 = 57
제3장 과학적 연구의 절차와 계획 = 59
제1절 과학적 연구의 일반적 절차 = 59
1. 연구문제의 선정 및 가설설정 = 60
2. 연구대상의 선정 = 62
3. 조사설계의 선택 = 62
4. 개념화 및 조작화 = 63
5. 자료수집 = 64
6. 자료분석 = 64
7. 자료해석 및 보고서 작성 = 65
제2절 연구의 분석단위 = 65
1. 분석단위의 분류 = 66
2. 분석단위 선정과 해석의 오류 = 69
제3절 연구의 시간적 범위 = 72
1. 횡단면적 연구 = 72
2. 종단면적 연구 = 72
3. 분석단위가 지방정부나 국가인 경우 = 73
제4절 연구계획서의 작성 = 75
1. 연구계획서의 의미 = 75
2. 연구계획서의 구성요소 = 75
3. 연구계획서의 활용 = 78
주요 추천문헌 = 79
제4장 연구문제 및 가설의 형성 = 81
제1절 연구문제 = 81
1. 연구문제의 의미와 진술 = 81
2. 연구문제의 원천 = 83
3. 연구문제의 평가기준 = 85
4. 연구문제의 형성과정 = 86
5. 경험적 연구문제의 사례 = 88
제2절 연구의 개념적 준거틀 = 90
1. 개념적 준거틀의 의미 = 90
2. 개념적 준거틀의 구조 = 91
3. 개념적 준거틀의 표현방법 = 97
4. 개념적 준거틀의 기능 = 99
제3절 가설 = 101
1. 가설의 의미 = 101
2. 가설의 종류 = 102
3. 가설의 기능 = 105
4. 연구가설의 사례 = 107
주요 추천문헌 = 109
제5장 기존문헌의 검토 = 111
제1절 기존문헌 검토의 의의 = 111
1. 기존문헌 검토의 의의 = 111
2. 기존문헌 검토와 종합연구 = 112
제2절 기존문헌 검토의 목적 및 시기 = 113
1. 기존문헌 검토의 목적 = 113
2. 기존문헌 검토의 시기 = 113
제3절 개별 연구문헌의 검토기준 = 115
1. 기존문헌의 원천과 탐색방법 = 115
2. 개별문헌의 검토기준 = 117
제4절 기존문헌 검토결과의 기술 = 120
1. 전통적 방법에 의한 기존문헌 검토의 문제점 = 120
2. 기존문헌 검토결과의 기술방법 = 121
3. 상충되는 연구결과의 검토 및 기술방법 = 123
주요 추천문헌 = 129
제6장 기술적 조사설계 = 131
제1절 기술적 조사설계의 개념 및 유형 = 131
1. 기술적 조사연구의 개념 = 131
2. 기술적 조사연구의 유형 = 132
제2절 횡단면적 조사설계 = 135
1. 횡단면적 설계의 특징 = 135
2. 현황조사를 위한 설계 = 136
3. 상관적 연구설계 = 138
제3절 시계열설계 = 140
1. 시계열설계와 미래예측 = 140
2. 미래의 유형과 미래예측의 방법 = 142
3. 시계열자료의 추세연장에 의한 미래예측 = 144
주요 추천문헌 = 151
제7장 인과관계의 추론 = 153
제1절 원인의 개념 = 153
1. 원인, 결과, 인과관계의 개념 = 153
2. 행정 및 정책연구에서의 원인 = 154
3. 사회적 인과관계의 복잡성과 다원적 이원론 = 155
제2절 인과적 추론의 조건 = 156
1. 시간적 선후관계 = 157
2. 공동변화와 연관성 = 158
3. 비허위적 관계 = 159
제3절 조사설계의 타당성과 위협요인 = 164
1. 타당성의 개념 및 종류 = 165
2. 통계적 결론의 타당성 = 166
3. 내적 타당성의 의미와 위협요인 = 167
4. 구성개념의 타당성 = 178
5. 외적 타당성 = 179
주요 추천문헌 = 182
제8장 설명적 조사설계 = 185
제1절 설명적 조사설계의 기본원리 = 185
1. 인과적 설명을 위한 조사설계의 원리 = 185
2. 실험설계의 구성요소 = 188
제2절 인과적 설명을 위한 조사설계의 유형 = 194
1. 진실험설계 = 196
2. 준실험설계 = 199
3. 비실험설계= 204
주요 추천문헌 = 214
제9장 개념과 측정 = 215
제1절 서론 = 215
제2절 개념, 구성개념 및 개념적 정의 = 218
1. 개념 및 구성개념 = 218
2. 개념적 정의 = 219
제3절 변수와 조작적 정의 = 221
1. 변수 = 221
2. 조작적 정의 = 221
3. 변수의 종류 = 223
제4절 변수의 측정 = 226
1. 측정의 개념 = 226
2. 측정의 수준과 척도 = 228
제5절 측정도구와 척도의 구성 = 232
1. 측정도구 및 척도의 의미 및 필요성 = 232
2. 척도구성의 기본전제 = 234
3. 척도구성의 방법 = 236
4. 척도분석의 방법 = 241
주요 추천문헌 = 251
제10장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 = 253
제1절 측정과 측정오차 = 253
1. 측정오차의 개념 = 253
2. 측정오차의 종류 : 체계적 오차와 무작위 오차 = 254
제2절 측정의 타당성 = 256
1. 타당성의 개념 = 256
2. 내용타당성과 평가방법 = 257
3. 기준타당성과 평가방법 = 258
4. 구성개념 타당성 = 260
제3절 측정의 신뢰성 = 267
1. 신뢰성의 개념 = 267
2. 신뢰도의 추정방법 =269
3. 신뢰도의 제고방안 = 273
주요 추천문헌 = 275
제11장 표본추출 및 표본설계 = 277
제1절 표본추출의 의의 = 277
1. 표본추출의 의의 = 277
2. 표본조사의 이점 = 278
제2절 표본추출의 기초개념 = 279
1. 모집단 = 280
2. 구성요소와 표본추출단위 = 280
3. 표본추출의 프레임 = 281
제3절 표본추출의 설계 = 283
1. 표본추출설계의 의의 = 283
2. 확률표본추출의 방법 = 284
3. 비확률표본추출의 방법 = 289
제4절 표본추출분포에 관한 이론 = 293
1. 표본추출분포의 의미 = 293
2. 표본평균의 표본추출분포 = 294
3. 표본비율의 표본추출분포 = 299
제5절 표본추출오차와 표본크기의 결정 = 301
1. 표본추출오차와 비표본추출오차 = 301
2. 표본크기와 신뢰수준에 따른 표본추출오차의 크기 = 301
3. 적정표본크기의 결정 = 304
주요 추천문헌 = 307
제12장 자료수집방법 = 309
제1절 자료의 종류와 수집방법 = 309
1. 자료의 종류 = 309
2. 자료수집방법의 분류 = 311
제2절 관찰방법 = 312
1. 관찰방법의 의의 = 312
2. 관찰방법의 유형 = 313
3. 관찰방법의 장점과 단점 = 315
제3절 면접방법 = 316
1. 면접방법의 의의 = 316
2. 면접방법의 종류 = 317
제4절 질문서법 = 319
1. 질문서법의 의의 = 319
2. 질문서의 작성 = 320
3. 질문서 적용방법 = 332
제5절 2차자료의 수집방법 = 336
1. 2차자료의 수집의 의의 = 336
2. 2차자료의 유형 = 337
제6절 자료수집방법의 선택기준 = 338
1. 현지상황의 특성 = 339
2. 자료수집방법의 타당도와 신뢰도 = 343
3. 자료수집비용 = 344
주요 추천문헌 = 345
제13장 자료분석방법 = 347
제1절 통계적 자료분석의 기초 = 347
1. 조사연구의 목적 : 기술 또는 설명 = 348
2. 분석해야 할 변수의 수 = 349
3. 변수측정의 수준 = 349
제2절 단일변수의 기술통계 = 350
1. 중앙경향값의 측정수단 = 351
2. 산포도의 측정수단 = 353
3. 분포형태의 측정수단 = 356
제3절 두 변수간 연관성 분석 = 358
1. 변수간 연관성 분석의 기초 = 358
2. 명목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360
3. 서열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367
4. 등간 또는 비율변수간의 연관성 분석 = 370
제4절 다변량 분석 = 376
1. 다변량통계분석기법의 분류 = 376
2. 다변량분석기법 개관 = 379
제5절 소시오메트리와 연결망분석 = 382
1. 소시오메트리 = 383
2. 연결망분석 = 389
주요 추천문헌 = 393
제14장 통계적 가설검증 = 395
제1절 통계적 가설검증의 의의 = 395
1. 통계적 가설검증의 의미 = 395
2. 통계적 유의성과 실제적 유의성 = 396
3. 표본의 통계량과 모집단의 모수 = 397
제2절 가설검증의 과정 = 401
1. 가설의 설정 = 402
2. 표본자료수집 및 검증방법의 결정 = 405
3. 유의수준의 선택과 임계치의 결정 = 406
4. 검증통계량의 계산 = 408
5. 검증결과의 해석 = 408
6. 가설검증의 오류 = 409
제3절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 검증 = 410
1. 개관 = 410
2. 상관분석 = 412
3. 부분상관분석 = 414
4. 다중회귀분석 = 415
5. 경로분석 = 417
6. 공분산구조분석 = 419
7. 상대적 영향력 비교방법 적용사례 = 420
8. 요약 = 428
주요 추천문헌 = 430
제15장 공분산구조모형 = 431
제1절 공분산구조분석의 개념과 대두배경 = 431
1. 공분산구조분석의 개념 = 431
2. 공분산구조분석의 대두배경 = 433
3. 전통적 통계분석방법과의 관계 : 요인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 436
제2절 공분산구조모형의 분석절차 = 437
1. 모형작성 = 438
2. 모형식별 = 446
3. 분석자료 및 추정방법의 선택 = 448
4. 패러미터값 및 모형의 적합도 평가 = 448
제3절 공분산모형의 활용분야와 한계 = 450
1. 활용분야 = 450
2. 한계 = 451
주요 추천문헌 = 452
제16장 연구보고서 작성과 활용 = 455
제1절 연구보고서의 유형과 구조 = 455
1. 연구보고서의 목적 = 455
2. 학술연구보고서의 구조 = 456
3. 정책분석보고서의 특징과 구조 = 463
제2절 연구결과의 활용 = 465
1. 연구결과의 활용과정 = 466
2. 연구결과의 활용유형 = 467
3. 연구결과 활용의 증진방안 = 468
주요 추천문헌 = 472
부록
1. χ^2 분포표 = 474
2. 정규분포표 = 475
3. t분포표 = 476
4.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발행 통계현황 = 477
참고문헌 = 515
색인 =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