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 책을 내면서 = ⅲ
1. 성공적인 대학공부를 위하여
자유, 무작정 좋은 것만은 아니다 = 5
경직된 공부방법으로는 더 이상 힘들다 = 7
2. 강의, 재미있게 듣는 방법은?
강의실에 갈 때는 '물음표'를, 나올 때는 해답을! = 14
강의실에 들어 가기 전에 = 14
강의실을 나올 때 = 16
'3A 경청법'을 이용해 보자 = 17
강의 속에도 '표지판'이 있다 = 19
억양의 변화를 놓치지 마라 = 19
강의의 흐름을 타라 = 21
강의에서 해답을 못얻으면 책을 뒤져라. = 21
그래도 안되면, 도서관을 뒤져라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하자 : 기억의 한계 = 24
3. 듣기만도 바쁜데 노트를 꼭 해야 하나?
노트가 뭐 그리 중요해?! = 29
쓰기 동작이 주의를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 30
기록을 남길 필요가 있다 = 30
필요하다면, 노트의 요령은? = 32
'단서칸'의 이용방법 = 33
'요약칸'의 이용방법 = 33
'노트정리란'을 융통성 있게 활용하라 = 35
약자 활용으로 시간절약을 = 35
전보문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 = 36
약자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 36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하자 : 기억의 구조 = 38
4. 두꺼운 책, 어느 세월에 다 읽나?
책 전체의 윤곽부터 잡아라 = 43
서론 읽기 = 44
부록을 훑어 보자 = 45
예습은 강의를 재미있게 만든다 = 46
효과적인 독서, 적극적인 도서?! = 48
책을 읽으며 질문을 만들자 = 48
독서에 몰입하기 위한 요령이 있다면… = 49
조직적인 패턴을 알아낼 것 = 50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하자 : 기억방략 = 53
5. 공부한 내용, 내 것으로 만들려면?
내 것 만들기의 기반 = 57
학습내용의 상기 방법 : 재인과 회상 = 58
재인에서 회상 수준으로 끌어 올리기 = 59
바로바로 복습하기 = 60
읽는 것을 곧바로 한 번 더 훑어 보라 = 60
공부한 내용을 마음속으로 다시 떠올려 보라 = 60
핵심 내용을 질문으로 바꿔 보라 = 60
요점을 물어 보는 질문을 만들어 보라 = 61
질문들을 다시 읽자 = 61
질문데 대한 답을 회상해 보자 = 63
요약해 보기가 이해를 심화시킨다 = 63
가장 중요한 요점을 선택하자 = 64
각 페이지에 관한 개관을 쓰자 = 65
요약부분을 다시 읽어 보자 = 65
단순한 암기를 넘어서 = 65
'되짚어보기 사고'의 기본을 익히자 = 66
되짚어보기 사고의 이점 = 67
나에게 맞는 학습방법은? = 69
시작은 SQ3R 방법으로 = 69
자신만의 학습방법을 개발하자 = 71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하자 : 기억맥락 = 74
6.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은?
왜 잊어버릴까? = 79
기억력이 떨어지는 것이 머리탓만은 아니다 = 82
일단은 제대로 학습이 되어야 = 82
기억에도 이유가 있어야 = 83
우선 학습자료를 암기하기 쉽게 만들자 = 86
중요한 것만 뽑아내자 = 86
내용을 조직화하면 쉽게 외워진다 = 88
자! 이제, 이런 식으로 암기를 = 89
어떤 식으로든 연관시켜야 = 89
외우는 데는 암송이 최고 = 97
알아두면 도움되는 암기의 기본원리 = 102
여러 번으로 나누어 외우자 = 102
'학습고원 현상'이란? = 104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하자 : 학습고원 현상 = 105
7. 공부에 집중이 안될 땐?
집중이란 이런 것이다 = 109
집중하기 쉽도록 환경을 꾸미자 = 112
외적인 이유 때문이라면? = 112
내적인 이유 때문이라면? = 117
이런 방법이 집중을 돕는다 = 119
적어 두는 습관을 들여야 = 119
쉬는 것도 한 가지 방법 = 120
눈높이가 맞아야 = 120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하자 : 주의의 용량과 선택적 주의 = 123
8. 대학에서의 시험은 다르다고 하던데……
답안을 쓰기 전에 = 127
우선 잊어버리기 쉬운 것을 적어 두자 = 128
일단 문제들을 쭉 훑어 보자 = 128
문제에다 단서를 달아 두자 = 129
시간안배를 적당히 = 129
대학시험도 쉬운 문제부터 = 130
답안 작성의 기본 = 130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자 = 130
이런 답안이 좋다 = 130
쓸 건 많은데 시간은 없고…… = 131
핵심을 찔러야 한다 = 131
답안 요지는 분명하게 = 134
설득력 있는 답안을 쓰려면? = 136
구체적인 증거가 필요하다 = 136
타당한 논거를 제시해라 = 136
개인적인 의견은 요구할 때만 쓴다 = 137
답안 작성요령을 익히려면? = 138
답안에 대해 친구와 토론을 해보라 = 138
답안지를 비교해 보면 많은 참고가 된다 = 138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하자 : 상위인지 = 141
9. 스트레스 없이 공부할 수는 없을까?
어차피 해야 된다면 즐거운 마음으로 = 147
긴장을 풀어주는 두 가지 특효약 = 148
자존심을 높요 주면 절반은 성공 = 152
내적 통제감을 갖는 것이 관건 = 153
엉뚱한 스트레스가 공부를 훼방 놓는다 = 157
좋은 수면, 나쁜 수면 = 158
제대로 먹어야 공부도 잘 된다 = 165
운동이 스트레스를 잡는다 = 169
동시다발의 스트레스는 사절! = 171
스트레스, 피할 수 있는 것은 피하고 보자 = 172
꾸물대며 미루는 것은 금물 = 173
시험지 앞에서 도사되기 = 178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 178
시험장에 들어서니 마음이 편안해지네?! = 179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기본 = 180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하자 : 학습된 무기력 = 185
10. 요령 있는 시간관리도 능률향상에 한몫!
하루 24시간도 쓰기 나름 = 190
일상 습관이 시간을 벌어준다? = 192
'숨겨진' 시간을 찾아보자 = 195
능률적인 시간계획표 짜기 = 197
세 가지 시간계획표가 필요하다 = 199
상황에 따라 과제 중심의 시간 계획표가 유용할 수도 = 206
시험준비에도 시간관리가 한몫 = 210
시험준비는 학기 시작부터 = 210
뭐니뭐니해도 평소에 공부하는 것이 최고 = 212
시험보기 일주일 전, 이렇게 준비하자 = 214
벼락공부에도 요령이 있다? = 219
자신의 학습습관도 한 번 진단해 보자 = 222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하자 : 강화원리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