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ⅲ
제1부 PRO와 그 통제 = 1
제1장 PRO의 속성과 분포 = 3
1. PRO는 과연 존재하는가? = 3
2. PRO의 분포 특성과 PRO-정리 = 8
제2장 PRO의 통제와 통제 이론 = 15
1. 어휘론자적 통제 이론 = 15
1.1 Chomsky(1980)의 통제 이론 = 15
1.2 R$\dot{u}$$\check{z}$i$\check{c}$ka(1983)의 수정 통제 이론 = 19
1.3 양도휘(1984, 1985)의 확대 통제 이론 = 23
2. 주술 관계화 통제 이론 = 26
제3장 PRO의 통제와 결속 이론 = 33
1. 이론적 배경 = 33
2. Manzini(1983)의 확대 결속 이론 = 35
3. Bouchard(1084, 1985)의 수정 결속 이론 = 38
4. 김용석(1986b)의 확대 결속 이론 = 42
제2부 PRO와 그 통제 = 53
제4장 대명사 탈락 현상과 그 매개 변인의 설정 = 55
1. 대명사 탈락의 현상적 고찰 = 55
2. 대명사 탈락 매개 변인(Ⅰ) = 60
3. 대명사 탈락 매개 변인(Ⅱ) = 64
제5장 공대명사 PRO와 그 통제 = 71
1. Chomsky(1982)의 공대명사 PRO의 제안과 대명사 탈락 매개 변인(Ⅲ) = 71
2. Huang(1982) 의 대명사 탈락 원리와 대명사 탈락 매개 변인(Ⅳ) = 75
3. Huang(1984, 1989)의 일반 통제 이론 = 84
제6장 공대명사 PRO의 존재와 공범주 유형 분류 = 103
1. Xu(1986)의 자유 공범주 이론에 관하여 = 104
2. Huang(1987, 1991)의 신4분법 공범주 이론에 관하여 =116
제3부 한국어의 공대명사 현상과 그 통제 = 135
제7장 일반 통제 이론과 한국어의 공대명사 현상 = 137
제8장 일반 통제 이론의 대안 = 147
1. 이흥배(1987)의 의미-화용론적 통제 이론 = 147
2. 문귀선(1991)의 의식자론적 통제 이론 = 154
3. 양현권(1991)의 발화 행위론적 통제 이론 = 164
4. 조숙환(1991)의 자질 일치론적 통제 이론 = 171
제9장 한국어의 공대명사 현상을 위한 새로운 방안 모색 = 183
1. 문제의 제기 = 183
2. 새로운 공대명사 이론의 제안 = 188
3. 제고되어야 할 몇 가지 문제점에 대하여 = 203
3.1 공운용자 이동과 선행사 지배 = 203
3.2 주격 부여와 영주어의 변항 분석 = 212
4. 맺음말 = 224
참고문헌 = 229
색인 = 237
영·한 용어 번역 일람 =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