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ⅸ
이 책에 사용된 부호 풀이 = ⅶ
서론 = 1
제1부: 언어발달에 대한 모형
제1장 소장 문법학파의 이론 = 23
1 기본 문제 = 23
1.1 공시적 불규칙성 = 23
1.2 언어 상호간 유사성 = 28
2 인도-게르만 제어 = 30
3 소장 문법학파 = 31
4 음성변화:규칙성 원리 = 33
5 類推 = 42
5.1 유추적 변화 == 46
5.2 유추적 창조 = 53
6 음성변화와 유추의 상호 관계 = 58
7 음운론적 재구('비교 방법') = 60
7.1 대응 계열과 공통조어의 분절음 = 62
7.2 통시적 규칙: 형식과 순서 = 71
8 형태의 재구와 통사의 재구 = 77
8.1 형태론 = 78
8.2 통사론 = 81
9 어휘의 재구 = 83
10 언어의 친족 관계(계통적, 또는 기원적 관계) = 85
10.1 계통수 모형 = 85
10.2 공통조어 = 94
제2장 언어진화에 대한 구조주의 이론 = 103
1. 음운변화의 系列的 측면 = 104
1.1 構造 = 104
1.1.1 음운론적 분절체 = 104
1.1.2 음운 자질 = 108
1.2 機能 = 116
2 형태론적 구조에 남아있는 과거 음운변화의 흔적: 內的 再構 = 121
3 문법범주 영역에서의 변화 = 133
4 통시적 연구에 적용된 구조주의 방법론의 한계 = 141
제3장 언어변화에 대한 변형-생성 문법의 이론 = 147
1. 음운변화 = 149
1.1 언어 개신 = 154
1.2 체계적 재구조화: 형식적 조건 = 164
1.2.1 규칙 단순화 = 166
1.2.2 규칙 재배열 = 170
1.2.3 규칙 입력의 축소(어휘 단순화) = 184
1.3 체계적 재구조화: 출력에 대한 조건 = 184
1.3.1 계열적 변화의 균질성을 중가시키는 재배열 = 185
1.3.2 어휘 항목들의 형태 = 187
1.3.3 음성배합의 여러 가지 제약 = 188
1.3.4 체계적 재구조화가 일어나는 원인 = 190
1.4 공시적 문법과 통시적 문법 = 195
2 통사적 변화 = 202
2.1 명사구 통사론에서의 변화 = 204
2.1.1 변형규칙 체계의 변화 = 206
2.1.2 심층구조에서의 변화 = 213
2.2 동사구 통사론에서의 변화 = 219
2.3 어휘항목의 통사적 특질에서의 변화 = 230
제2부: 언어 접촉
제4장 소장 문법학파의 음성법칙과 방언 지리학 = 237
1 음성변화의 영역 = 237
2 어휘 대치: '음성적 어원'의 오류 = 251
3 방언 경계선은 존재하는가? = 260
4 파장설 = 263
5 상호 이해도 = 267
6 사회적 차원 = 268
제5장 언어변화의 사회적 원인 = 271
1 언어의 사회적 성층: 언어 변항의 평가 = 271
2 역사적 변화의 공시적 반영 = 279
3 언어변화의 기제 = 290
제6장 언어와 언어 사이의 접촉 = 295
1 어휘 차용 = 296
1.1 차용어 = 296
1.2 번역 차용(模寫, calques) = 317
1.3 의미 확대(의미적 模寫) = 324
1.4 어휘 차용의 구조적 영향 = 326
2 문법 차용 = 327
2.1 이중언어 상용과 언어 간의 간섭 현상 = 327
2.2 言語 區域 = 334
2.2.1 발칸 반도의 언어 구역 = 336
2.2.2 언어 구역으로서어의 유럽 = 339
2.3 차용에 대한 제약 = 345
3 피진어와 크레올어 = 349
제7장 言語와 先史 = 357
1 분류와 언어의 역사 = 357
1.1 유형론과 언어의 역사 = 357
1.2 언어 연대학(또는 어휘 통계학) = 363
2 언어 再構와 先史 = 371
2.1 地名에서 추출된 증거 = 372
2.2 祖語形에서 추출된 증거 = 378
보충 도서 선정 = 383
역사 후기 = 387
참고 문헌 = 399
찾아보기 =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