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6
Ⅰ. 본문의 실마리 = 13
1. 기무(氣武)·예무(藝武)·군무(軍武) = 15
2. 한국상고군사사의 무대 = 18
3. 한국상고군사사의 범위 = 21
Ⅱ. 한나라(桓國)시대 = 25
1. 환인(桓仁)의 치신득도(治身得道) = 27
2. 무예의 형성과 전수(傳授) = 31
3. 무예와 현묘지도(玄妙之道) = 35
4. 예무(藝武)와 군무(軍武) = 42
5. 강역(疆域)과 역년(歷年) = 46
6. 한나라에 관한 기록들 = 49
Ⅲ. 배달나라시대 = 53
1. 환웅천왕(桓雄天王)의 심신수련 = 55
2. 곰족(態族)황후의 득도 = 59
3. 삼일신고(三一神誥)와 기무(氣武) = 63
4. 삼법수행(三法修行) = 67
5. 국책(國策)으로 시행된 무예 = 72
6. 치우천왕(蚩尤天王)의 기무(氣武) = 78
7. 공상(空桑)전투와 탁록(탁鹿) = 81
8. 치우천왕의 진법(陳法)과 군편제(軍編制) = 91
9. 치우천왕 때 무기 = 96
10. 치우천왕과 동양문화 = 98
11. 동이문명(東夷文明)을 배운 황제(黃帝) = 103
12. 배달나라 무예강역(武藝疆域)과 서토(西土) = 109
13. 배달나라 군사연표(軍事年表) = 114
Ⅳ. 단군조선 시대 = 117
1. 단군왕검의 득도 = 119
2. 소도(蘇塗)와 무예 = 122
3. 경당(경堂)에서의 무예교육 = 127
4. 소도와 경당에 관한 기록들 = 130
5. 국자랑(國子郞과 천지화랑(天指花郞) = 138
6. 단군조선의 군사조직(軍事組織) = 144
7. 단군조선의 사관교육(士官敎育) = 149
8. 단군조선의 향토방위(鄕土防衛) = 153
9. 단군조선의 수군(水軍) = 158
10. 단군조선의 군가(軍歌) = 162
11. 단군조선의 무기(武器) = 167
12. 숙신(肅愼)의 활과 화살 = 172
13. 중국에 전수된 둔전병제(屯田兵制) = 180
14. 무예에서 생겨난 폐단 = 184
15. 역대 상장(上將) = 189
16. 국방에 관한 상소(上疏) = 193
17. 단군조선 무예강역(武藝疆域) = 209
18. 단군조선 군사연표(軍事年表) = 215
Ⅴ. 상고시대의 무예윤리 = 225
1. 무사와 무예윤리 = 227
2. 무사와 살생(殺生)의 기준 = 232
3. 무사와 초능력세계(超能力世界) = 235
Ⅵ. 동양무예의 원류 = 239
1. 동양무예의 특징 = 241
2. 기(氣)로 본 동양무예의 원류 = 245
3. 활동영역으로 본 동양무예의 원류 = 250
참고한 책 = 256
부록
천부경(天符經) = 261
삼일신고(三一神誥) = 263
삼륜(三倫) = 269
구서(九誓) = 273
팔조교(八條敎) = 279
상고사연표(上古史年表) =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