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역사적 맑스주의

역사적 맑스주의 (Loan 7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서관모 Althusser, Louis
Title Statement
역사적 맑스주의 / 루이 알튀세르 외저 ; 서관모 [편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새길,   1993.  
Physical Medium
344 p. ; 23 cm.
Series Statement
새길신서 ;34
ISBN
8970331069 :
000 00629camccc200229 k 4500
001 000000013835
005 20100805082655
007 ta
008 941006s1993 ulk 000a kor
020 ▼a 8970331069 : ▼c \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49 1 ▼l 111009921 ▼l 111009922 ▼l 111009923 ▼l 111009924 ▼l 111009925
082 0 4 ▼a 335.4 ▼2 21
090 ▼a 335.4 ▼b 1993g
100 1 ▼a 서관모 ▼0 AUTH(211009)37807
245 1 0 ▼a 역사적 맑스주의 / ▼d 루이 알튀세르 외저 ; ▼e 서관모 [편역].
260 ▼a 서울 : ▼b 새길, ▼c 1993.
300 ▼a 344 p. ; ▼c 23 cm.
490 0 0 ▼a 새길신서 ; ▼v 34
700 1 ▼a Althusser, Loui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5.4 1993g Accession No. 1110099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5.4 1993g Accession No. 1110099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 1993g Accession No. 1110099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 1993g Accession No. 1110099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Call Number 335.4 1993g Accession No. 1110099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알튀세르의 논문들과 맑스주의와 노동자운동의 융합의 역사와 모순에 관해 서술한 논문들을 모은 책이다. <역사유물론의 전화>의 후속편 격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은 맑스주의의 위기 속에서, 생명력을 가진 대중투쟁과 융합하는 이론으로의 맑스주의의 전화라는 프로젝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책의 1부는 조르주 라비카의 글 한편과 알튀세르의 말기 저작들인 76~77년의 글 네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목차 참조) 각각의 글은 맑스주의의 위기 속에서 적극적으로 그 전화를 모색한 논문들이다. 2부는 여섯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맑스주의와 노동운동의 융합의 모순이라는 관점에서 서술된, 맑스 시대 맑스주의 운동에 대한 맑스주의 내부의 비판적 자기 역사 서술이다.

맑스 스스로가 이미 모순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맑스의 계승자들 역시 그러하였다는 점에서, 맑스주의는 "이념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것으로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때문에 이 속에서 우리가 적극적으로 맑스주의의 역사적 성격을 전화시키는 투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맑스주의의 전화와 관련한 알튀세르의 프로젝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으로 읽어야하는 책이다. 또한 맑스주의 내부의 모순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이를 전화함을 통해서 그것과 대중운동의 융합을 재개하려는 사람들이 새로운 사고를 하기 위해서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책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루이 알튀세르(지은이)

1918년 알제리에서 태어났다. 1939년 파리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한 후 곧바로 징집되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독일 수용소에서 포로로 5년을 보낸 후 학교로 돌아와 헤겔 철학에 대한 논문으로 졸업했다. 이후 같은 학교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하며 자크 데리다, 알랭 바디우, 에티엔 발리바르, 자크 랑시에르 등 훗날 저명한 학자가 될 제자들을 가르쳤다. 알튀세르는 1948년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했다. 이후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마르크스주의에 관한 독창적 연구를 발표하기 시작하는데, 그 출발점이 바로 1965년에 출간한 두 저작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제자들인 발리바르, 로제 에스타블레, 랑시에르, 피에르 마슈레와 공저한) 『자본을 읽자』이다. 하지만 알튀세르의 작업은 프랑스 공산당에 의해 철저하게 무시된다. 이 두 저작의 출간 이후 알튀세르는 철학과 정치, 그리고 과학 사이의 관계라는 문제에 천착해 「레닌과 철학」, 「자기비판의 요소들」, 「아미엥에서의 주장」 등의 논문과 『철학과 과학자의 자생적 철학』, 『입장들』 등의 저서를 통해 1980년 직전까지 철학의 정의를 정정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작업에 대한 자기비판을 수행하고 자신의 작업을 발전시킨다. 또한 프랑스 공산당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개념 포기 등의 노선 전환에 대해 『당 내에 더 이상 지속되어서는 안 될 것』, 『22차 당대회』 등의 저서를 통해 격렬하게 비판하고 논쟁의 중심에 자리하지만, 세상을 떠날 때까지 당적을 버리지는 않았다. 평생 우울증에 시달렸고, 1980년에는 정신착란 상태에서 아내 엘렌 리트만을 교살했다. 법정에서는 면소 판결을 받았지만 법적, 정치적 권리를 완전히 상실한 채 정신병원의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다가 1990년 세상을 떠났다. 알튀세르 사후 그의 유고집이 꾸준히 출판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이 책의 편집자 고슈가리언과 현대출판기록물연구소의 노력 끝에 프랑스대학출판부의 ‘비판적 관점’ 총서로 최근 다섯 개의 유고집이 출간되었다. 『철학에서 마르크스주의자가 된다는 것』, 『비철학자를 위한 철학 입문』, 『검은 소: 알튀세르의 상상 인터뷰』, 『역사에 관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가 그것이며, 2019년에는 『이데올로기적 사회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의 출간이 예고되어 있다.

에릭 홉스봄(지은이)

1917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나 오스트리아, 독일과 영국에서 교육을 받았다. 영국 아카데미와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었으며, 일본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기도 했던 그는 여러 나라의 대학들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그는 퇴임할 때까지 런던 대학교 버크벡 칼리지에서 그후에는 뉴욕의 신사회연구원에서 강의했다.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제국의 시대」그리고 「극단의 시대」외에도, 그의 저서들로는 「밴디트 : 의적의 역사」 「혁명가 : 역사의 전복자들」「재즈 평범한 사람들의 비범한 음악」 자신의 회고록인 「미완의 시대」 「세계화, 민주주의, 테러리즘」과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가 있다. 홉스봄은 2012년에 타계했다.

조르주 라비카(지은이)

1930년 프랑스 툴롱 출생. 마르크스 이론의 역사와 정치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반식민주의, 반제국주의 운동가로서 알제리, 베트남, 팔레스타인, 이라크를 수차례 방문 ‘평화 위원회’의 명예회장으로 활동해 왔다. 2010년 현재 파리 10대학 명예교수이다. &lt;D?mocratie et Revolution(2004)&gt;을 썼으며, &lt;Dictionnaire Critique du Marxisme(2001)&gt;를 편집했다.

디터 그로(지은이)

<역사적 맑스주의>

가레쓰 스테드만 존스(지은이)

<역사적 맑스주의>

조르쥬 옵트(지은이)

<역사적 맑스주의>

지안 마리오 브라보(지은이)

<역사적 맑스주의>

다니엘 렝당베르그(지은이)

<역사적 맑스주의>

서관모(엮은이)

1984~88년 사이에 한국 사회 계급 구성 분석 작업을 수행한 바 있다. 1990년대 이래 에티엔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주의 개조 작업과 그에 뒤이은 ‘정치의 개조’ 작업을 소개하는 작업을 주로 해왔다. 논문으로 「반폭력의 문제설정과 인간학적 차이들 : 에티엔 발리바르의 포스트마르크스적 공산주의」(2008), 「네그리와 하트의 다중의 기획에 대한 비판」(2009), 「알튀세르에게서 발리바르에게로」(2011), 「적대들과 차이들: 목적론, 종말론, 메시아주의와 이론적 아나키즘의 문제」(2015)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루이 알튀세르의 『철학과 맑스주의: 우발성의 유물론을 위하여』(1996, 공역), 『철학에 대하여』(1997)와, 에티엔 발리바르의 『대중들의 공포: 맑스 전과 후의 정치와 철학』(2007, 공역)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편자 서문 = 3
제1부 맑스주의 이론
 1. 맑스주의 : 정통과 이단 / 조르쥬 라비카 = 13
 2. 오늘의 맑스주의 / 루이 알튀세르 = 45
 3. 철학의 전화 / 루이 알튀세르 = 63
 4. 제라르 뒤메닐의『<<자본>>의 경제법칙 개념』에 대한「서문」/ 루이 알튀세르 = 99
 5.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들에 대한 노트 / 루이 알튀세르 = 127
제2부 맑스주의와 노동자운동
 6. 맑스, 엥겔스와 맑스 이전의 사회주의 / 에릭 홉스봄 = 151
 7. 맑스와 '파리의 미스테리' / 다니엘 렝당베르그 = 193
 8. 공산주의자동맹에서 제1인터내셔날까지 / 지안 마리오 브라보 = 217
 9. 맑스와 맑스주의 / 조르쥬 옵트 = 239
 10. 맑스와 영국의 노동자운동 / 가레쓰 스테드만 존스 = 281
 11. 독일의 '맑스주의적' 노동자운동 / 디터 그로 = 30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