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증보판을 내면서 = 11
머리말 = 13
제1장 의미론과 진리: 기본 개념 = 23
Ⅰ. 진리 의미론의 정당화 = 23
A. 《상식적인》 답변 = 23
B. 분석적 진리와 정의 = 26
Ⅱ. 자연 언어에서의 진리의 상대성 = 28
A. 다소 참인 발화문들 = 28
B. 참이 될 수 있는 발화문들. 가능 세계의 개념 = 34
C. 주관적으로 참인 발화문들 = 41
제2장 진리 조건. 분석성과 언어학적 정의 = 65
Ⅰ. 정의 형태와 정의 내용의 다양성. 스테레오타입 효과 = 66
A. 정의 형태의 다양성 = 66
B. 정의 내용의 다양성 = 71
Ⅱ. 정의들 간의 논리적 관계. 다의성의 문제 = 84
A. 실사의 다의성 = 85
B. 동사의 다의성과 형용사의 다의성 = 96
Ⅲ. 정의, 분석성, 그리고 의미의 원초소 = 106
A. 개념소와 운용 보편소 = 106
B. 개념소와 체험의 보편소 = 112
제3장 가능 세계에서의 『참』과 믿음 영역 = 115
Ⅰ. 양태 부여소의 몇 가지 양상 = 117
A. 발화 운용자 《EN》 = 117
B. 양태 부여소와 《보문소》(《COMP》) = 124
C. 《시제-서법》운용자 = 126
D. 양태 술어 = 129
Ⅱ. 접속법과 진리 = 131
A. 이론적 범주 = 132
B. 접속법과 가능 세계. 진리론적 양태와 의무론적 양태 = 139
C. 접속법과 반사실적 세계 = 144
D. 인식적 문맥에서 = 153
Ⅲ. 가능 세계와 믿음 영역: 미래 시제와 조건법의 분석 = 161
A. 불어의 미래 시제와 시간 표현 = 161
B. 조건법의 두 가지 유형 = 169
C. 영역 변화 조건법 = 172
D. 가능 세계 조건법 = 177
E. 영역 변화 조건법과 가능 세계 조건법의 배합: 경계적 용법 = 185
제4장 퍼지의 뜻: 《다소 참》 = 191
Ⅰ. 퍼지와 그 관련 현상들. 근사법과 비언급 = 191
A. 근사적 용법 = 192
1. 몇 가지 예 = 192
2. 근사법과 퍼지 사이의 경계 = 193
B. 애매 모호성과 비언급 = 195
C. 함축적 선택 독서 = 198
Ⅱ. 실사 한정사의 이산적 대립과 퍼지 = 202
A. 이산적 대립 = 204
1. 미리 구축된 집합에 대한 작용. 부정관사 un과 비한정사 = 204
2. 싱글톤의 구성체. 정관사 le = 212
3. 부분 관사의 이중적 외연성에 관하여 = 221
B. 한정사와 퍼지 = 228
1. 관사에 의한 지시적 연속체 = 228
2. 퍼지 집합의 구성체. 비한정사 tout = 236
Ⅲ. 은유와 퍼지 = 246
A. 직유에서 동치로 = 248
1. 은유와 직유 = 248
2. 은유와 동치 = 255
B. 은유와 근사적 동치 = 261
1. 선택적 사용 = 262
2. 선택 작용과 비언급 = 264
3. 선택 범위의 퍼지 = 267
제5장 의미론에서 화용론으로: 믿음 영역의 진리 = 271
Ⅰ. 담화 부문: 주제와 발화문의 주제화 = 275
A. 주제와 주제적 전제 = 275
B. 주제와 주어 = 283
C. 주제, 주제화 그리고 촛점화 = 288
D. 주제, 그리고 모델의 전체적 구조 = 293
Ⅱ. 화용론 부문 = 296
A. 문장과 발화문. 언표내적 《화용론》과 담화 화용론 = 296
B. 언표내적 양상들 = 299
C. 발화문의 해석과 재해석 = 303
D. 언표적 (재)해석과 언표내적 (재)해석. 의미 작용과 언향성.
E. 화용론과 예측성 = 306
제6장 믿음 영역의 진리로부터 역설적 진리로 = 317
Ⅰ. 역설적 진리와 반어적 발화문 = 319
Ⅱ. 서술적 허구의 역설 = 327
A. 지금까지의 연구 방식 = 327
1. 《서술적 기능》(K¨ate Hamburger) = 328
2. 《외시 없는 재현》(Nelson Goodman) = 332
3. 《가장된 연표내적 행위》(John R. Searle) = 333
B. 논리 의미론적인 가설 = 336
1. 두 종류의 비실존 = 336
2. 『영역상』, 그리고 허구를 위한 장치. 《전지적 해설자》
C. 결론 = 340
1. 해설자의 현존 = 341
2. 허구, 그리고 『영역상』의 구조 = 342
3. 현실에 대한 주관적 인식 = 345
책을 마치며 = 347
참고 문헌 = 349
일반 문헌 = 349
주제별 관련 문헌 = 357
인명 별 참고 문헌 찾기 = 379
저자 약력과 저술 목록 = 385
기호 해설 = 395
한·불 용어 대조표 = 399
불·한 용어 대조표 = 407
옮기고 나서 =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