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30camccc2002171k 4500 | |
001 | 000000013385 | |
005 | 20100805081544 | |
007 | ta | |
008 | 940926s1994 ulk 000au kor | |
020 | ▼a 8932006725 ▼g 03800 : ▼c \8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005296 ▼f 개가 ▼l 111005297 ▼l 111005298 ▼f 개가 ▼l 121014881 ▼f 과개 ▼l 121014882 ▼f 과개 ▼l 121014883 ▼f 과개 |
082 | 0 4 | ▼a 801.95 ▼2 21 |
085 | ▼a 3550 ▼2 KDCP | |
090 | ▼a 801.95 ▼b 1994a | |
100 | 1 | ▼a 오생근 ▼0 AUTH(211009)100167 |
245 | 1 0 | ▼a 현실의 논리와 비평 / ▼d 오생근 [저]. |
246 | 0 3 | ▼a 오생근 평론집 |
260 |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c 1994. | |
300 | ▼a 394 p. ; ▼c 23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110052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110052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2(Eastern Books)/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210148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110052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5100141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110052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110052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2(Eastern Books)/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210148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110052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95 1994a | Accession No. 15100141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오생근(지은이)
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불문과를 졸업하고 1983년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소설 3부작의 형태와 의미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불문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명예교수이다. 197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평론 「동물의 이미지를 통해 본 이상의 상상세계」가 당선되어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평론집으로 『삶을 위한 비평』(1978), 『현실의 논리와 비평』(1994), 『그리움으로 짓는 문학의 집』(2000), 『문학의 숲에서 느리게 걷기』(2003), 『위기와 희망』(2011) 등이, 연구서로 『프랑스어 문학과 현대성의 인식』(2007), 『초현실주의 시와 문학의 혁명』(2010), 『미셸 푸코와 현대성』(2013)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프레베르 시집 『장례식에 가는 달팽이들의 노래』(2017), 프랑스 현대 시를 모은 『시의 힘으로 나는 다시 시작한다』(2020), 앙드레 브르통의 소설 『나자』(2008), 그리고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1994), 『육체의 고백』(2019) 등이 있다.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 우호학술상, 대한민국학술원상, 수당상을 수상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ⅴ Ⅰ. 소설론 도시 공간의 소설적 기능 = 11 소설 속에 나타난 서울과 서울 사람들 = 33 집, 가족, 그리고 개인 : 이청준·오정희 = 52 허구적 삶과 비관적 인식 : 오정희 = 64 민중적 세계관과 일상성의 문학 : 황석영 = 84 『장길산』과 민중적 역사 의식 = 102 삶과 역사적 인식의 건강성 : 현길언 = 126 닫힌 세계에서 열린 세계로 : 현길언 = 146 『먼동』의 역사 의식과 문학적 전망 = 155 삶과 글쓰기의 얽힘과 긴장 관계 : 김원우 = 170 여성의 삶과 민족적 비극의 수용 : 김주영 = 189 성격과 우연 : 유재용 = 199 분단 현실의 새로운 체험과 이해 : 복거일 = 210 단절된 세계와 고통의 언어 : 임철우 = 219 일상의 전체적 시각과 삶의 진실 : 이창동 = 225 주체의 상실과 욕망의 언어 : 최수철 = 240 Ⅱ. 시론 도시와 시 = 251 삶과 시적 인식 : 김광규 = 266 일상과 전위성 : 오규원 = 275 고전적 정신과 생성의 시 : 최하림 = 283 길 없는 세계에서의 여행 : 문충성 = 295 내면성의 시 혹은 삶과 자연 v 이하석 = 307 투명함과 순진성의 세계 : 김형영 = 317 자아의 확대와 상상력의 심화 : 이성복 = 327 꿈과 추억 그리고 순진성의 시학 : 홍영철 = 338 Ⅲ. 문학 이론 및 일반론 아방가르드의 운명 = 351 문화와 정치의 역동성 = 358 문학의 사회적 수용과 독자 = 365 권력·욕망·사회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