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군주론

군주론 (36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achiavelli, Niccolò, 1469-1527 강정인, 역
서명 / 저자사항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저 ; 강정인 옮김
발행사항
서울 :   까치,   1994  
형태사항
252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까치글방 ;86
원표제
Il principe
기타표제
영어번역표제: The prince
ISBN
897291052X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Political science --Early works to 1800 Political ethics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00012620
005 20170201132716
007 ta
008 940907s1994 ulka 001c kor
020 ▼a 897291052X ▼g 9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041 1 ▼a kor ▼h eng ▼h ita
049 1 ▼l 111010532 ▼l 111010533 ▼l 111010534 ▼l 111173660 ▼l 111173661 ▼l 111233246 ▼f 법학
082 0 4 ▼a 320.1 ▼2 21
085 ▼a 320.1 ▼2 DDCK
090 ▼a 320.1 ▼b 1994d
100 1 ▼a Machiavelli, Niccolò, ▼d 1469-1527 ▼0 AUTH(211009)77365
245 1 0 ▼a 군주론 / ▼d 니콜로 마키아벨리 저 ; ▼e 강정인 옮김
246 1 ▼i 영어번역표제: ▼a The prince
246 1 9 ▼a Il principe
246 3 ▼a Prince
246 3 9 ▼a Principe
260 ▼a 서울 : ▼b 까치, ▼c 1994
300 ▼a 252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까치글방 ; ▼v 86
500 ▼a 색인수록
546 ▼a 이탈리아어로된 원저작을 영어로 번역하고, 이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
650 0 ▼a Political science ▼x Early works to 1800
650 0 ▼a Political ethics
700 1 ▼a 강정인, ▼e▼0 AUTH(211009)37717
900 1 0 ▼a 마키아벨리, 니콜로,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1 1994d 등록번호 1111736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1 1994d 등록번호 1112332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1 1994d 등록번호 1510013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20.1 1994d 등록번호 1510013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1 1994d 등록번호 1111736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1 1994d 등록번호 1112332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1 1994d 등록번호 1510013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320.1 1994d 등록번호 1510013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니콜로 마키아벨리(지은이)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 정치학자, 역사가, 극작가이다. 그는 1469년 5월 3일 귀족 가문 출신의 법학자인 베르나르도 디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바르톨로미아 디 스테파노 넬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유명한 귀족 가문 출신은 아니었지만 인문학적 재능이 뛰어난 마키아벨리는 1494년 메디치 가문이 몰락할 무렵 피렌체의 공화국 10인 위원회의 서기장이 되었으며, 외교 사절로서 신성 로마 제국 등 여러 외국 군주에게 사절로 파견되면서 독자적인 정치적 견해를 구축하였고 그는 1498년부터 1512년까지 피렌체 공화국 제2 서기국의 서기장을 역임했다. 1512년 스페인의 침공으로 인해 피렌체 공화정이 몰락과 동시에 메디치 가문이 재집권하게 되면서 마키아벨리는 공직에서 박탈당했다. 1513년에는 메디치 가문에 대한 반란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투옥되었다. 감옥에서 갖은 고초를 겪고 고문을 당했지만, “조국에 대한 나의 충성은 나의 가난이 증명하고도 남는다.”라고 결백을 주장했다. 얼마 후 메디치 가문 출신인 교황 레오 10세가 선출되자 교황 특사로 석방 되었고 그는 다시 공직 생활을 하기 위해 메디치 가문의 새로운 군주에게 알현하여 『군주론(Il Principe)』을 헌정하는 등 많은 노력을 했지만 끝내 외면당하고 만다. 그 후 『로마사 논고(Discourses on Livy)』, 『전술론』, 『피렌체사』 등 저술 활동에 힘쓰면서 공직복귀에 많은 노력을 했다. 1527년 5월 메디치가문의 정권이 무너지고 공직에 복귀하려고 시도했지만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해 6월 21일에 급성 복막염으로 5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마키아벨리에 대한 평가는 극단적으로 나뉜다. “근대 이탈리아 민족주의의 아버지”라는 긍정적 평가가 있는가 하면 “악의 교사(敎師)”라는 부정적 평가도 있다. 그러나 그의 정치철학은 토마스 홉스, 존 로크, 장 자크 루소의 사상과 더불어 근현대 정치학의 계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모두 인정한다.

강정인(옮긴이)

서울대학교 법대 졸업(1977)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분교 정치학 박사(1987)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989-2020) 저서 : 『자유민주주의의이념적초상』(1993), 『소크라테스, 악법도법인가?』(1994),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2004), 『넘나듦의 정치사상』(2013), 『한국 현대 정치사상과 박정희』(2014), 『교차와 횡단의 정치사상』(2019 : 편저) 역서 : 『플라톤의 이해』(1991), 『마키아벨리의 이해』(1993), 『홉즈의 이해』(1993), 『마르크스에 있어서 필요의 이론』(1990), 『현대 민주주의론의 경향과 쟁점』(1994 : 공역), 『로크의 이해』(1995 : 공역), 『로마사 논고』(2003 : 공역), 『군주론』(2008 : 공역)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헌정사: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위대한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올리는 글 = 9

제1장 군주국의 종류와 그 성립과정 = 11

제2장 세습 군주국 = 12

제3장 복합 군주국 = 14

제4장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정복했던 다리우스 왕국은 왜 대왕이 죽은 후 그의 후계자들에게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 30

제5장 점령되기 이전에 자신들의 법에 따라서 살아온 도시나 군주국을 다스리는 방법 = 35

제6장 자신의 무력과 능력에 의해서 획득한 새로운 군주국 = 38

제7장 타인의 무력과 호의로 얻게 된 새로운 군주국 = 45

제8장 사악한 방법을 사용하여 군주가 된 인물들 = 59

제9장 시민형 군주국 = 67

제10장 군주국의 국력은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가 = 74

제11장 교회형 군주국 = 78

제12장 군대의 다양한 종류와 용병 = 84

제13장 원군, 혼성군, 자국군 = 94

제14장 군주는 군사(軍事)에 관해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 101

제15장 사람들이, 특히 군주가 그 때문에 칭찬받거나 비난받는 일들 = 106

제16장 관후함과 인색함 = 109

제17장 잔인함과 인자함, 그리고 사랑받는 것과 두려움을 받는 것 중 어느편이 더 나은가 = 114

제18장 군주는 어떻게 약속을 지켜야 하는가 = 120

제19장 경멸과 미움은 어떻게 피해야 하는가 = 125

제20장 요새를 구축하는 등 군주들이 흔히 하는 많은 일들은 과연 유용한가, 무용한가 = 142

제21장 군주는 명성을 얻기 위해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 150

제22장 군주의 측근 신하들 = 157

제23장 아첨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 160

제24장 어떻게 해서 이탈리아의 군주들은 나라를 잃게 되었는가 = 164

제25장 운명은 인간사에 얼마나 많은 힘을 행사하는가, 그리고 인간은 어떻게 운명에 대처해야 하는가 = 167

제26장 야만족의 지배로부터 이탈리아의 해방을 위한 권고 = 173

부록

 부록 1 「군주론」과 관련된 서한들 = 183

 부록 2 「군주론」에 나오는 용어들에 대한 해설 = 194

 부록 3 마키아벨리의 생애의 주요 사건 연표 = 205

역자해제 = 209

역자후기 = 241

인명색인 = 249



관련분야 신착자료

Berger, Stefan (2023)
박장호 (2022)
김성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