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83namcc2200217 k 4500 | |
001 | 000000010878 | |
005 | 20121012102446 | |
007 | ta | |
008 | 940722s1994 ulk 000a kor | |
020 | ▼a 8970331166 : ▼c \5800 | |
020 | ▼a 9788997759347 ▼g 0333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 |
049 | 1 | ▼l 111113024 |
082 | 0 4 | ▼a 301 ▼2 21 |
090 | ▼a 301 ▼b 1994j | |
245 | 1 0 | ▼a 사회학의 명저 20 / ▼d 김진균...[외저]. |
260 | ▼a 서울 : ▼b 새길, ▼c 1994. | |
300 | ▼a 311 p. ; ▼c 23 cm. | |
490 | 0 0 | ▼a 지혜가 드는 창 ; ▼v 9 |
700 | 1 | ▼a 김진균 ▼0 AUTH(211009)77291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110105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111130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510107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510107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513104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110105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111130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510107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510107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 청구기호 301 1994j | 등록번호 1513104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김진균(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민주노총 지도 위원이다.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공동 의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 대표, 사월혁명연구소 소장, 사회진보연대 대표, 진보네트워크센타(참세상) 대표 등을 역임했다. 2004년 2월 14일 타계하셨다. 지은 책으로는 <비판과 변동의 사회학>, <사회과학 민족현실 1,2>, <한국의 사회현실과 학문의 과제>, <문화과학사>, <제3세계와 사회이론>(편저), <서울대학교 교수민주화운동 50년사>, <군신(軍神)과 현대사회:현대군사화의 논리와 군수산업에 관한 연구>(공저)등이 있다.
임현진(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정회원, 동아시아사회학회(EASA) 회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장, 사회과학대학장, 기초교육원장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을 비롯하여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사회학회, 한국NGO학회, 국제개발협력학회, 전국사회대학장협의회,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등의 회장을 역임했으며, 교육부로부터 인문사회 분야 ‘국가석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 전공 분야는 사회발전론, 정치사회학, 비교사회학이다.
전성우(지은이)
국내 베버 연구의 1인자인 전성우는 서울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했으며 독일 괴팅겐대학에서《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으로 막스 베버를 접하고 사회학으로 전향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베버를 연구했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및 에를랑겐대학교, 일본 가쿠슈인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있었으며 한국이론사회학회의 회장을 지냈다. 쓴 책으로는 《막스 베버 사회학》, 《막스 베버 역사사회학 연구》, Max Webers Stadtkonzeption, 《막스 베버 사회학의 쟁점들》(공저), 번역서로는 《탈주술화 과정과 근대》, 《막스 베버 사회과학방법론Ⅰ》, 《막스 베버의 고대 중세 연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막스 베버의 근대사회론”, “막스 베버 지배사회학 연구”, “Der Mythos Max Weber”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책 머리에 = 3 1. 실증철학 강의 / 콩트 = 9 오귀스트 콩트의 지적 배경 = 11 실증철학 강의와 콩트 사회학의 이론적 기초 = 14 콩트 사회학에 대한 비판적 평가 = 23 2. 공산당 선언 / 맑스 = 27 맑스의 망령 = 29 맑스와 그의 시대 = 31 공산당 선언 = 35 산만한 논문 = 39 3.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베버 = 43 합리성이란 측면에서 근대를 보다 = 45 이념형적 방법을 사용하다 = 48 자본주의 정신 = 52 칼뱅주의, 현세적 금욕주의와 자본주의 정신 = 56 맑스와 상호 보완적인 자본주의론 = 60 4. 자살 / 뒤르켐 = 63 자살은 문명에 대한 반성 수단 = 65 자살은 자살이 아니다 = 67 허무주의와 맞서 싸운 거인 = 74 5. 돈의 철학 / 짐멜 = 77 짐멜의 복원 = 79 짐멜의 철학적 기반과 돈의 철학 = 81 짐멜의 현재성 = 88 6.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 만하임 = 91 지식사회학에 대한 열망 = 93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의 사회적·지적 배경 = 96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 존재론적 의미 해석의 긴 여정 = 99 7 유한계급론 / 베블렌 = 107 개척자적인 반항기질의 소유자 = 109 유한계급제도는 문화발전을 저해한다 = 113 현대 생활 양식의 분석으로 나아가야 = 117 8. 마음·자아·사회 / 미드 = 121 프래그머티즘의 영향을 받은 사회심리학자 = 123 사회적 행위는 유의미한 상징을 사용하는 내적 대화 = 126 철학의 뿌리깊은 이원론을 해결하는 야심에 찬 시도 = 132 9. 파워 엘리트 / 밀즈 = 135 사회학적 상상력을 지닌 지적 장인 = 137 파워 엘리트에 의한 지배 체제 유지 = 140 지식인의 책임 = 146 10. 일상 생활에서의 자아 표현 / 고프만 = 149 미국이 낳은 가장 창의적인 사회학자 = 151 인간의 사회 생활은 연극의 연출과 같다 = 153 형식주의·의례주의의 허구성을 폭로한다 = 158 11. 일차원적 인간 / 마르쿠제 = 161 비판 이론의 의미와 중요성을 일깨워 준 인물 = 163 계몽의 변증법을 구성하는 기억의 정치학 = 164 욕구의 비판 이론 = 168 12. 소통행위 이론 / 하버마스 = 173 인식론적 지평에서 주체의 위상을 검토한다 = 175 생활 세계의 내적 식민지화 = 179 급진적 다원주의의 기획 = 183 13 맑스를 위하여 / 알튀세 = 187 철학의 전화, 맑스주의의 전화 = 189 역사적 맥락 = 191 이데올로기와 과학 그리고 정치 = 196 과잉 결정과 주체의 구성 = 199 14. 감시와 처벌 / 푸코 = 205 푸코 철학의 세 가지 토대 = 207 지식과 권력은 뗄 수 없는 관계다 = 213 15. 기호의 정치경제학 비판 / 보드리야르 = 219 일상 생활에 대한 진지한 관심 = 221 사용가치·교환가치를 넘어선 기호가치의 분석 = 223 기호의 정치경제학 = 227 하이퍼리얼한 세계 = 229 본질에 대한 환상을 밝혀 내는 포스트모던 이론가 = 231 16. 탁월화, 사회적 판단력 비판 / 부르디외 = 233 구조와 실천을 연결하는 '아비튀스' = 235 다양한 자본 개념으로 생활 양식의 공간을 분석하다 = 240 사회 구조와 개인의 자유라는 이분법을 지양하다 = 244 17. 사회 체계들 / 루만 = 247 위기에 처한 사회학을 구원하려는 이론 작업 = 249 자기 준거성 논리를 발전시킨 기능 구조 이론 = 254 구조와 기능의 도치 = 256 자기 준거적 체계 이론의 논리 = 258 인간은 단지 제한된 복합성만을 견뎌 낼 수 있다 = 260 18. 권력 이동 / 토플러 = 263 신기술이 초래한 희망적인 발전에 주목하는 미래학자 = 265 권력은 사물이 아니라 인간 관계의 한 측면이다 = 267 갈등을 강조하는 체계이론 = 275 19. 노동과 독점자본 / 브레이버맨 = 281 노동 현장의 경험과 맑스주의 이론을 결합하다 = 279 구상 기능을 자본에 집중하는 테일러주의 = 283 자본주의 노동 과정 연구에 여전히 유효한 준거점 = 289 20. 역사적 자본주의 / 월러슈타인 = 293 세계 체제로서의 자본주의 = 295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동태와 모순 = 298 평가와 함의 =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