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4camccc2002291k 4500 | |
001 | 000000010846 | |
005 | 20100805071151 | |
007 | ta | |
008 | 940722s1994 ulk 001a kor | |
020 | ▼a 8936470140 ▼g 03910 : ▼c \65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001535 ▼l 111069865 ▼l 111089569 ▼l 421121477 ▼f 과학 ▼l 421121478 ▼f 과학 ▼l 111154795 ▼f 교육대학원 ▼l 111159050 |
085 | ▼a 953.05 ▼2 DDCK | |
085 | ▼a 2150 ▼2 KDCP | |
090 | ▼a 953.05 ▼b 1994L | |
100 | 1 | ▼a 강만길 ▼0 AUTH(211009)50824 |
245 | 2 0 | ▼a (고쳐 쓴)한국근대사 / ▼d 강만길 지음. |
260 | ▼a 서울 : ▼b 창작과비평사, ▼c 1994. | |
300 | ▼a 324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950 | 0 | ▼b \8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1110015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11106986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0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1110895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교육대학원교학과 N11 K32 | 등록번호 111154795 | 도서상태 대출불가(별치)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고안 953.05 1994L | 등록번호 912005289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4211214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4211214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2170 7A | 등록번호 15102695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13-01-02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No. 9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과비치/ | 청구기호 2170 7A | 등록번호 15102436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990-06-02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1110015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11106986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0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1110895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교육대학원교학과 N11 K32 | 등록번호 111154795 | 도서상태 대출불가(별치)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고안 953.05 1994L | 등록번호 912005289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4211214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05 1994L | 등록번호 4211214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2170 7A | 등록번호 15102695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13-01-02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과비치/ | 청구기호 2170 7A | 등록번호 151024368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990-06-02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84년 출간되어 학계와 독서계에 선풍을 불러일으킨 저자의 역저 <한국근대사> <한국현대사>를 전면적으로 증보하여 내놓은 통사(通史). 조선후기부터 최근 전두환.노태우 정권시기와 문민정부의 등장까지 서술하고 있는 이 책들은 원저 출간 이후 10년간 축적된 역사학계의 업적과 그동안 이용할 수 없었던 북한 학계의 연구성과까지 아우르면서 원저를 전체적으로 손질하여 증보한 것이다. 근대사 부분에서는 특히 문호개방 전후의 사회경제사 부분을 남북한 학계의 성과를 수용하여 대폭 수정하였으며, 현대사 부분에서는 특히 일제시대 민족해방운동사를 보완.강화하고 8.15 이후 통일민족국가 수립운동과 1980년대를 추가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강만길(지은이)
1933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일제강점 말기와 해방정국을 경험하며 역사공부에 뜻을 두게 되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대학원에 다니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일하다 1967년 고려대 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72년 ‘유신’ 후 독재정권을 비판하는 각종 논설문을 쓰면서 서서히 현실비판적 지식인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광주항쟁 직후 항의집회 성명서 작성과 김대중으로부터의 학생선동자금 수수 혐의 등으로 구금되었다가 고려대에서 해직되었다. 1984년 4년 만에 복직하여 강단으로 돌아온 이후 정년퇴임하는 1999년까지 한국근현대사 연구와 저술활동을 통해 진보적 민족사학의 발전에 힘을 쏟았으며, 2001년 상지대학교 총장을 맡아 학교운영 정상화와 학원민주화를 위해 노력했다. 김대중정권부터 노무현정권까지 약 10년간 통일고문을 역임했고,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측위원회 위원장,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광복60주년기념사업 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역사대중화를 위해 계간지 『 내일을 여는 역사 』 를 창간해 지금까지 발간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재단법인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을 설립해 젊은 한국근현대사 전공자들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목차
목차 책 머리에 = 3 『한국근대사』 책 머리에 = 7 제1부 양반 지배체제의 와해와 민중세계의 성장 제1장 양반 지배체제의 와해 서설 = 17 제1절 벌열정치와 민중 = 19 1. 당쟁과 민중 = 19 당쟁의 배경 = 19 당쟁의 전개과정 = 21 당쟁과 민중 = 22 2. 大同法과 농민생활 = 24 대동법 실시의 배경 = 24 대동법의 실시 과정 = 26 대동법 실시의 의의 = 28 3. 均役法의 허실 = 29 軍役制의 변화 = 29 良役의 폐단 = 31 균역법의 허실 = 33 제2절 세도정권과 민중저항 = 35 1. 세도정권의 구조와 성격 = 35 세도정권 성립의 배경 = 35 안동김씨 세도정권의 구조와 성격 = 37 대원군정권의 성격 = 40 2. 세도정권의 농민수탈 = 42 농민층 조세 부담의 증가 = 42 賦稅 도결화의 폐단 = 44 농민세계의 동향 = 46 3. 농민반란의 폭발 = 48 관서농민전쟁 = 48 壬戌民亂 = 50 제3절 외세의 침략과 시련 = 53 1. 倭亂과 민병활동 = 53 관군의 패배 = 53 민병과 수군의 승리 = 55 和議와 終戰 = 58 2. 胡亂과 북벌론 = 60 對淸外交의 실패 = 60 三田渡의 항복 = 62 북벌론의 허실 = 63 3. 西勢東侵과 대응 = 66 서양문물의 수용 = 66 천주교 수용과 탄압 = 68 洋擾와 문호개방론 = 70 제2장 민중경제의 향상 서설 = 74 제1절 농민경제의 새로운 향상 = 76 1. 영농기술의 발달 = 76 모내기와 견종법의 보급 = 76 이모작과 수리 발달 = 78 상업적 농업의 발달 = 79 2. 지대 수취법의 변화 = 81 竝作과 賭租 = 81 화폐지대의 발생 = 83 제2절 상품화폐경제의 발전 = 86 1. 특권상업의 변질 = 86 貢人의 발생 = 86 시전상업의 변화 = 87 통공정책의 실시 = 89 2. 인구 증가와 도시 발달 = 91 인구의 증가와 분포 = 91 도시의 발전 = 94 3. 민간상업의 발전 = 96 민간무역 = 96 私商都賈 = 99 농촌상업 = 101 4. 금속화폐의 유통 = 103 화폐유통의 배경 = 103 상평통보의 유통 = 105 제3절 수공업과 광업의 발전 = 108 1. 관청수공업의 변화 = 108 장인등록제의 붕괴 = 108 관청수공업의 변질 = 109 2. 민간수공업의 발전 = 112 도시 장인의 상품생산 = 112 농촌 수공업의 발전 = 113 3. 광업의 발달 = 116 군수광업의 발달 = 116 設店收稅制의 성립 = 118 광업의 민영화 과정 = 120 제3장 중세적 신분질서의 붕괴 서설 = 123 제1절 양반사회의 변화 = 125 전쟁과 양반사회 = 125 양반수 증가의 실제 = 127 양반계층의 분화 = 129 제2절 농민층의 분화 = 132 부농층의 성장 = 132 임노동자층의 출현 = 134 제3절 노비계급의 신분해방 = 137 從良 확대와 推刷 실패 = 137 從母法의 확정 = 139 내시노비의 폐지 = 141 제4절 향촌사회의 변화 = 143 촌락사회의 변화 = 143 향촌 지배세력의 변화 = 146 제4장 민중문화의 발달 서설 = 148 제1절 실학사상의 발전 = 150 실학의 역사적 조건 = 150 실학의 연구분야 = 152 실학의 역사적 의의 = 157 제2절 민중문화의 창조 = 160 문학계의 새로운 경향 = 160 국문소설과 사설시조 = 161 한문학의 성격 전환 = 163 미술의 새 경향 = 165 제3절 과학과 기술의 발전 = 167 천문학·지리학·수학 = 167 의학 = 169 기술과학 = 171 제2부 외세 침략과 근대 민족국가 수립의 실패 제1장 근대 민족국가 수립의 실패 서설 = 177 제1절 문호개방과 반발 = 179 문호개방 = 179 개화정책과 반발 = 180 임오군변 = 182 제2절 갑신정변 = 185 개화파의 형성 = 185 정변의 실패 = 187 정변의 의의 = 189 제3절 갑오개혁의 허실 = 192 개혁의 배경 = 192 개혁의 내용 = 193 개혁의 자율성과 타율성 = 195 제4절 대한제국의 역사적 위치 = 197 제국의 성립 = 197 제국의 성격 = 199 제국과 외세 = 200 제5절 식민지화로의 길 = 203 러일전쟁과 한국 = 203 통감통치 = 204 한일'합방' = 206 제2장 반침략 민족운동의 전개 서설 = 210 제1절 갑오농민전쟁 = 213 농민전쟁의 배경 = 213 농민전쟁의 전개과정 = 215 농민전쟁의 역사성 = 217 제2절 독립협회 운동 = 220 독립협회 = 220 만민공동회 = 222 운동의 성격 = 224 제3절 의병전쟁 = 227 초기의병과 민중운동 = 227 의병전쟁의 발전 = 229 전쟁의 성격변화 = 231 제4절 애국계몽운동 = 234 운동의 맥락 = 234 계몽운동의 전개 = 236 운동의 한계성 = 238 제3장 개항과 민족자본 형성의 실패 서설 = 242 제1절 일본상인의 무역독점 = 244 불평등조약 체계의 성립 = 244 일본의 무역독점 과정 = 247 무역의 성격 = 250 제2절 일본의 금융지배 과정 = 254 惡貨 남발과 일본화폐 유입 = 254 일본 금융기관의 침투 = 257 화폐정리사업 = 259 제3절 열강의 이권 및 자원 침탈 = 262 철도부설권의 약탈 = 262 지하자원의 침탈 = 264 토지 약탈 = 266 제4절 토착자본의 대응과 농민층의 동향 = 269 상권 수호운동의 전개 = 269 식산흥업운동과 회사 설립 = 272 산업자본의 실태 = 274 지주제 강화와 농민생활 = 277 제4장 근대 민족문화운동의 시련 서설 = 280 제1절 신사조의 수용 = 282 철학사조의 수용 = 282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 = 284 제2절 신교육운동 = 287 신식 교육기관의 설립 = 287 건학이념과 일제의 탄압 = 290 제3절 종교운동 = 291 전통종교의 변화 = 291 기독교 운동 = 294 제4절 신문학의 태동 = 297 국문연구 활동 = 297 愛國詩歌의 출현 = 299 신소설의 등장 = 302 찾아보기 =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