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는 말 - 변혁 이론의 현실과 한국 현대사 연구 = 11
1. 변혁운동과 이론의 현실 = 11
2. 사회주의 체제의 몰락과 자본주의의 미래 = 12
3. 변혁 이론의 반성 = 14
4. 한국 현대사 연구의 과제 = 17
제1부 해방과 분단
제1장 전후 미소의 세계 전략과 민족 분단 / 김혜진 = 25
1. 전후의 세계 질서 = 25
전쟁의 전개 과정 = 25
새로운 세계 질서 = 26
2. 전시 회담 = 28
연합국 회담 = 28
소련 참전 문제 = 31
3. 신탁 통치와 미소의 이해 관계 = 33
미국의 이해 관계 = 33
소련의 이해 관계 = 35
4. 38선 분할과 미소의 점령 = 37
미국의 점령구상 = 37
소련의 점령구상 = 38
5. 모스크바 협정 = 39
미소의 신탁안 = 39
국내 정치 상황 = 40
6. 냉전 심화와 철군 논의 = 43
트루만 독트린 = 43
소련 봉쇄와 한국 = 44
7. 유엔 이관과 단정 수립 = 46
한국 문제 유엔 상정 = 46
분단 국가 수립으로 = 47
제2장 미군정과 분단 국가 형성 / 류상영 = 49
1. 미군정의 성립 = 49
총체적 모순 구조 = 49
2. 미군정과 국가 구조 = 51
점령 과정 = 51
3. 상부 구조의 강화 = 53
군대 창설 = 53
경찰 = 55
관료 조직 강화 = 56
4. 하부 구조의 재편 = 57
토지 개혁 = 57
미군정의 토지 정책 = 58
적산 처리 = 59
매판 자본의 형성 = 61
지배 구조의 구성 = 62
5. 미군정기의 의미 = 63
제3장 해방 후 사회 운동과 미국 / 양동주 = 65
1.해방 정국과 대중의 조직화 = 65
건국 준비 위원회 = 65
미군정과 좌익 = 66
좌우 합작 운동 = 68
2. 9월 총파업과 10월 인민항쟁 = 69
미군정의 탄압 = 69
대구 봉기 = 70
남조선 노동당 = 72
3. 공위 속개 촉구 시민 대회 = 74
공위 속개 대중 운동 = 74
냉전과 미소 공위 = 76
4. 단선 단정 반대 투쟁 = 77
공위 결렬 = 77
2·7 구국 투쟁 = 77
분단 시대의 개막 = 79
제2부 한국 전쟁과 종속적 자본 축적- 1950년대
제1장 한국전쟁의 구조 : 기원·원인·영향 / 박명림 = 91
1. 한국전쟁의 기원 : 분단 = 91
역사의 정지 기간 = 91
냉전의 중심 = 92
분단 5단계설 = 93
38선 획정 = 94
미소의 구도 = 96
냉전의 시발 = 98
전후의 세계 대립 구조 = 101
분단 시대의 개막 = 102
혁명과 반혁명의 대립 구조 = 104
두 개의 분단 정권 수립 = 106
2. 한국전쟁의 원인 = 108
전통주의 및 수정주의 해석 = 108
미국의 이중적 외교 정책 = 110
동아시아에서의 세계적 대립 = 112
이승만 정권의 한계와 위기 = 113
두 정권의 정통성 경쟁 = 115
체제 저항 세력 = 116
대북 정책 = 118
스탈린의 의도 = 121
김일성의 마지막 선택 = 122
3. 한국전쟁의 영향 = 123
전쟁의 상흔 = 123
대규모 인명 피해 = 124
완전한 파괴 = 127
역설의 분단 고착 = 128
분단 의식 = 129
정통성의 역전 = 130
사회주의 독재 체제 = 131
전후 북한 경제 = 133
북한군의 변화 = 134
북한 외교의 자주 조선 = 134
주체 사상 = 135
반공 독재 체제 = 137
군사 정권 = 138
한국군의 역할 변화 = 140
국시 '반공' = 141
미국에의 경제 종속 = 141
지성의 상실 = 142
절름발이 주권 국가 = 144
한국 전쟁과 세계사 = 145
세계사의 부정의 = 147
제2장 50년대 국가 정책과 자본 축적 / 공제욱 = 149
국가와 자본 축적 = 149
1. 귀속 기업체 불하 정책과 사적 자본의 성장 = 150
귀속 재산 처리법 = 150
귀속 기업체 불하 = 153
사적 대자본의 성장 = 157
2. 원조 및 재정 금융 정책과 사적 자본의 성장 = 160
원조의 재정 투융자 = 160
저환율 정책 = 166
저금리 정책 = 170
한국 산업 은행의 융자 = 171
자본 축적의 성격 = 177
제3장 민족 민주혁명, 4·19 / 김동춘 = 180
1. 4·19혁명에 이르기까지 = 180
국가 권력 = 180
계급 관계 = 182
정권의 불안정성 = 183
2. 4·19혁명의 직접적인 배경 = 184
원조 감소와 권력 위기 = 184
학생들의 등장 = 185
3. 2·28학생 데모에서 이승만 하야까지 = 186
운동의 제1단계 = 184
참여계층 = 188
4. 이승만의 하야에서 7·29총선까지 = 190
민주당의 이탈 = 190
새로운 전선 = 192
새로운 모색 = 194
5. 7·29총선에서 5·16이전까지 = 196
민족 통일 운동 = 196
노동 운동 = 198
민주·자주·통일 운동 = 199
6. 4·19혁명의 의의 = 201
운동의 모델 4·19 = 201
제3부 종속경제와 군사 파시즘 - 1960, 1970년대
제1장 미국의 동북아 정책과 한국사회 / 김광덕 = 217
1. 미국의 동북아 정책 및 대한 정책 = 217
지역 통합 전략 = 217
콜론 보고서 = 219
2. 자본 축적의 위기 = 220
원조 감소 = 220
3. 민중들의 생활 = 222
도시와 농촌 = 222
4. 4·19와 장면 정권 = 223
무능한 2공화국 = 223
부정 축재 미온 처리 = 224
민족 민주 운동 = 225
5. 군사 쿠데타의 과정 = 226
발발 배경 = 226
권력 장악 = 227
6. 미국과의 관계 = 228
5·16과 미국 = 228
미국의 반응 = 229
7. 국가 기구의 정비 및 강화 = 231
중앙 정보부 창설 = 231
경제 기획원 발족 = 232
공화당 창당 = 232
8. 5·16직후 군사 파시즘의 정책 = 233
고리채 정리 = 233
독점 자본 재편 = 234
9. 제1차 경제 개발 계획 = 235
지도받는 자본주의 = 235
종속적 자본축적 = 236
10. 한국 국교 정상화와 베트남 파병 = 238
한일 회담 = 238
베트남 파병 = 238
11. 민중에 대한 통제 = 239
반공과 억압 = 239
제2장 종속적 자본축적과 그 귀결 / 임휘철 = 241
1. 경제 성장과 경제 위기 = 241
60, 70년대의 특징 = 241
2. 60, 70년대 한국 자본주의의 순환 = 242
60, 70년대 자본순환 = 242
고도 성장과 독점 강화 = 244
3. '경제개발계획'과 종속적 자본축적 - 1960년대 = 245
국가 개입 경제 = 245
원조 감소와 외자 도입 = 246
과잉 축적과 공황 = 247
4. '유신체제'와 중화학 공업화 = 249
축적 위기와 '유신' = 249
미일의 지배전략과 중화학 공업화 = 251
5. 중화학 공업화의 성과와 모순 = 252
고도 성장 = 252
외채 위기와 노동 강화 = 253
한미일 분업 연관 = 255
경제 종속 = 256
독점 대기업의 경제 지배 = 258
6. 중화학 공업화의 귀결 = 259
'79∼80년 경제 위기' = 259
제3장 일본 독점 자본의 한국진출 / 전창환 = 262
1. 한일 경제 관계의 재구축 = 262
미국의 지배전략 변화 = 262
로스토우·밀리칸 노선 = 263
일본의 경제성장 = 264
수출주도형 공업화 = 266
2. 한일 경제 유착 = 268
외자 도입 = 268
직접 투자 유치 = 269
일본 기술 도입의 급증 = 271
3. 국제분업 구조의 재편 = 272
미일 : 첨단 산업 = 272
한국 : 하청 산업 = 273
4. 국제적 하청 생산의 진전 = 274
새로운 국제분업 = 274
5. 일본의 '아시아 태평양 경제권 구상' 속에서의 한국 = 276
제4장 사회계급 구조의 변화와 민족 민주 운동 / 허상수 = 279
1. 군사 쿠데타와 사회변동 = 279
민주화의 좌절 = 279
2. 계급 구조의 변화 = 280
노동자 계급의 성장 = 280
농민 계층의 하강 분해 = 282
도시 빈민 = 283
3. 60년대의 민족 민주 운동 = 285
민주화 운동 = 285
통일 운동 = 286
민족 운동 = 287
4. 70년대의 민족 민주 운동 = 288
운동의 특징 = 288
민중 운동 = 290
통일 운동 = 293
외세 극복의 과제 = 295
제4부 신식민지 파시즘과 5공화국 - 1980년대
제1장 광주 민주 항쟁 / 김창진 ; 김광일 = 311
1. 한국 자본주의와 지역적 불균형 발전 = 311
항쟁의 조건 = 311
2. 계급 구성의 편차와 항쟁 주체의 형성 = 314
상대적 미분화 = 314
노동계급 = 316
농민 = 318
중소 부르조아지 = 318
중산층의 이탈 = 319
지역의식 = 320
지역 의식의 한계 = 321
3. 항쟁의 발발과 무장투쟁 = 323
반동의 서막 = 323
광주와 신군부 = 324
광주와 미국 = 325
전개 과정 = 326
무장투쟁과 지도부 = 327
4. 광주 민중 항쟁의 성격과 역사적 의의 = 328
반제 반독점 민족 민주 운동 = 328
의의 = 330
제2장 80년대 한국경제 / 정건화 = 331
1. 80년대 개관 = 331
본격화한 개방 = 331
축적 과정의 특징 = 334
2. 축적 체제의 재편 = 335
축적 체제의 위기 = 335
경제 안정화 정책 = 337
금융 긴축과 노동 강화 = 339
3. 개방 정책과 산업 구조 조정 = 342
개방 정책 = 342
국제 분업에 편입 = 344
산업 구조 조정 = 345
4. 자본 축적 구조의 변화 = 347
산업 구성의 변화 = 347
재생산 구조의 특징 = 349
독점 자본 강화 = 351
종속적 재생산 구조 = 352
부동산 투기와 자본 축적 = 354
제3장 민족 민주 운동의 고양과 5공화국의 몰락 / 정해구 = 357
1. 5공화국 정권의 체제 정비 = 358
정치 체제 정비 = 358
경제 체제 정비와 사회 통제 = 360
운동의 새로운 준비 = 361
2. 유화 국면과 민족 민주 세력의 강화 = 363
유화 국면 = 363
학생 운동 = 364
민주 노동 운동 = 365
생존권 투쟁 = 366
2·12총선거 = 367
3. 개헌 정국과 5공화국 정권의 몰락 = 368
개헌 정국 = 368
개헌 운동 = 369
개헌 노선의 분화 = 370
'이민우 구상' = 371
재야 운동 탄압 = 372
4·13호헌 조치 = 373
6월 항쟁 = 374
6·29 선언 = 376
4. 분할 지배 전략과 민주 정부 수립의 좌절 = 376
분할 지배 전략 = 376
기층 민중과 중산층의 분리 = 377
야권·재야의 분열 = 379
좌절된 민주 정부 수립 = 380
제5부 노동 운동의 고양과 6공화국
제1장 6공화국의 정치체제 / 고성국 = 391
1. 6·29선언으로 시작된 6공화국 = 391
계산된 도박 = 391
노동자 대투쟁 = 393
분열과 패배 = 395
2. 6공화국의 과도기적 성격 = 396
새로운 국제 역학 = 396
미국의 패권주의 = 398
남북 관계의 변화 = 400
독점 자본의 지배력 강화 = 403
패권적 지배 구조 확립 = 405
미국의 전략과 6공화국 = 407
3. 6공화국의 정치적 성격 = 409
5공화국의 연장 = 409
지배방식의 외형적 변화 = 412
신식민지 파시즘과 민선 민간 정부 = 414
제2장 6공화국의 경제 정책 / 정태인 = 418
1. 세계 경제의 기조와 한국 경제의 위치 = 419
새로운 국제 분업 = 419
2. 소공황 후 불안정한 회복 = 422
과잉 생산 공황 = 422
공황의 성격 = 425
시기 구분 = 429
3. 호황과 '의사 개량화'(1988. 1∼1988. 11) = 430
경제 개방 = 430
경제 민주화 = 431
4. 노동 운동 탄압과 경제 개혁의 무력화(1988. 12∼1989. 11) = 433
모순의 민중 전가 = 433
일관된 노동자 탄압 = 434
5. 경제 개혁의 폐기와 '총체적 난국'(1989. 12∼) = 437
성장 정책 = 437
경제 개혁 폐기 = 438
'총체적 난국' = 439
5·8특별 대책 = 440
6. 90∼91년 경제 성장의 평가 = 441
빗나간 경제 예측 = 441
건설, 설비 투자 주도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 = 441
국제 수지 적자의 내용 = 442
대기업 위주의 산업 금융 정책 = 443
인플레 성장 정책과 민중 생존권의 위기 = 445
맺음말 - 현대사와 민족 민주 운동 / 박현채 = 453
1. 현대사와 민족 민주 운동 = 453
2. 일제 식민지 치하 한국 사회의 성격 규정과 민족 민주 운동의 과제 = 455
3. 현실 사회의 성격 규정과 민족 민주 운동의 과제 = 461
4. 민족 민주 운동이 오늘의 상황에서 추구해야 할 과제 = 4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