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 1945-1991 : 고난과 희망의 민족사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 1945-1991 : 고난과 희망의 민족사 (36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현채
서명 / 저자사항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 1945-1991 : 고난과 희망의 민족사 / 박현채 엮음.
발행사항
서울 :   소나무,   1992.  
형태사항
466p. : 삽도 ; 23cm.
총서사항
소나무총서 ;31
ISBN
897139031x
000 00659camccc2002171k 4500
001 000000002359
005 20100805023506
007 ta
008 930621s1992 ulka 000a kor
020 ▼a 897139031x ▼g 03910 : ▼c \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411698776 ▼f 개가 ▼l 411698777 ▼f 개가 ▼l 421108858 ▼f 과개 ▼l 421108859 ▼f 과개 ▼l 111236307 ▼f 개가
082 0 4 ▼a 953.07
085 ▼a 2170 ▼2 KDCP
090 ▼a 953.07 ▼b 1992
100 1 ▼a 박현채
245 1 0 ▼a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 ▼b 1945-1991 : 고난과 희망의 민족사 / ▼d 박현채 엮음.
260 ▼a 서울 : ▼b 소나무, ▼c 1992.
300 ▼a 466p. : ▼b 삽도 ; ▼c 23cm.
490 0 0 ▼a 소나무총서 ; ▼v 31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4116987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1410001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4211088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4211088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1510704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4116987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1410001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4211088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4211088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7 1992 등록번호 1510704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현채(지은이)

서울대 경제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조선대 교수, 한국농업문제 연구회 간사, 국민경제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한국농업의 구상>, <한국자본주의와 민족운동>, <민족경제론>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시작하는 말 - 변혁 이론의 현실과 한국 현대사 연구 = 11
 1. 변혁운동과 이론의 현실 = 11
 2. 사회주의 체제의 몰락과 자본주의의 미래 = 12
 3. 변혁 이론의 반성 = 14
 4. 한국 현대사 연구의 과제 = 17
제1부 해방과 분단
 제1장 전후 미소의 세계 전략과 민족 분단 / 김혜진 = 25
  1. 전후의 세계 질서 = 25
   전쟁의 전개 과정 = 25
   새로운 세계 질서 = 26
  2. 전시 회담 = 28
   연합국 회담 = 28
   소련 참전 문제 = 31
  3. 신탁 통치와 미소의 이해 관계 = 33
   미국의 이해 관계 = 33
   소련의 이해 관계 = 35
  4. 38선 분할과 미소의 점령 = 37
   미국의 점령구상 = 37
   소련의 점령구상 = 38
  5. 모스크바 협정 = 39
   미소의 신탁안 = 39
   국내 정치 상황 = 40
  6. 냉전 심화와 철군 논의 = 43
   트루만 독트린 = 43
   소련 봉쇄와 한국 = 44
  7. 유엔 이관과 단정 수립 = 46
   한국 문제 유엔 상정 = 46
   분단 국가 수립으로 = 47
 제2장 미군정과 분단 국가 형성 / 류상영 = 49
  1. 미군정의 성립 = 49
   총체적 모순 구조 = 49
  2. 미군정과 국가 구조 = 51
   점령 과정 = 51
  3. 상부 구조의 강화 = 53
   군대 창설 = 53
   경찰 = 55
   관료 조직 강화 = 56
  4. 하부 구조의 재편 = 57
   토지 개혁 = 57
   미군정의 토지 정책 = 58
   적산 처리 = 59
   매판 자본의 형성 = 61
   지배 구조의 구성 = 62
  5. 미군정기의 의미 = 63
 제3장 해방 후 사회 운동과 미국 / 양동주 = 65
  1.해방 정국과 대중의 조직화 = 65
   건국 준비 위원회 = 65
   미군정과 좌익 = 66
   좌우 합작 운동 = 68
  2. 9월 총파업과 10월 인민항쟁 = 69
   미군정의 탄압 = 69
   대구 봉기 = 70
   남조선 노동당 = 72
  3. 공위 속개 촉구 시민 대회 = 74
   공위 속개 대중 운동 = 74
   냉전과 미소 공위 = 76
  4. 단선 단정 반대 투쟁 = 77
   공위 결렬 = 77
   2·7 구국 투쟁 = 77
   분단 시대의 개막 = 79
제2부 한국 전쟁과 종속적 자본 축적- 1950년대
 제1장 한국전쟁의 구조 : 기원·원인·영향 / 박명림 = 91
  1. 한국전쟁의 기원 : 분단 = 91
   역사의 정지 기간 = 91
   냉전의 중심 = 92
   분단 5단계설 = 93
   38선 획정 = 94
   미소의 구도 = 96
   냉전의 시발 = 98
   전후의 세계 대립 구조 = 101
   분단 시대의 개막 = 102
   혁명과 반혁명의 대립 구조 = 104
   두 개의 분단 정권 수립 = 106
  2. 한국전쟁의 원인 = 108
   전통주의 및 수정주의 해석 = 108
   미국의 이중적 외교 정책 = 110
   동아시아에서의 세계적 대립 = 112
   이승만 정권의 한계와 위기 = 113
   두 정권의 정통성 경쟁 = 115
   체제 저항 세력 = 116
   대북 정책 = 118
   스탈린의 의도 = 121
   김일성의 마지막 선택 = 122
  3. 한국전쟁의 영향 = 123
   전쟁의 상흔 = 123
   대규모 인명 피해 = 124
   완전한 파괴 = 127
   역설의 분단 고착 = 128
   분단 의식 = 129
   정통성의 역전 = 130
   사회주의 독재 체제 = 131
   전후 북한 경제 = 133
   북한군의 변화 = 134
   북한 외교의 자주 조선 = 134
   주체 사상 = 135
   반공 독재 체제 = 137
   군사 정권 = 138
   한국군의 역할 변화 = 140
   국시 '반공' = 141
   미국에의 경제 종속 = 141
   지성의 상실 = 142
   절름발이 주권 국가 = 144
   한국 전쟁과 세계사 = 145
   세계사의 부정의 = 147
 제2장 50년대 국가 정책과 자본 축적 / 공제욱 = 149
  국가와 자본 축적 = 149
  1. 귀속 기업체 불하 정책과 사적 자본의 성장 = 150
   귀속 재산 처리법 = 150
   귀속 기업체 불하 = 153
   사적 대자본의 성장 = 157
  2. 원조 및 재정 금융 정책과 사적 자본의 성장 = 160
   원조의 재정 투융자 = 160
   저환율 정책 = 166
   저금리 정책 = 170
   한국 산업 은행의 융자 = 171
   자본 축적의 성격 = 177
 제3장 민족 민주혁명, 4·19 / 김동춘 = 180
  1. 4·19혁명에 이르기까지 = 180
   국가 권력 = 180
   계급 관계 = 182
   정권의 불안정성 = 183
  2. 4·19혁명의 직접적인 배경 = 184
   원조 감소와 권력 위기 = 184
   학생들의 등장 = 185
  3. 2·28학생 데모에서 이승만 하야까지 = 186
   운동의 제1단계 = 184
   참여계층 = 188
  4. 이승만의 하야에서 7·29총선까지 = 190
   민주당의 이탈 = 190
   새로운 전선 = 192
   새로운 모색 = 194
  5. 7·29총선에서 5·16이전까지 = 196
   민족 통일 운동 = 196
   노동 운동 = 198
   민주·자주·통일 운동 = 199
  6. 4·19혁명의 의의 = 201
   운동의 모델 4·19 = 201
제3부 종속경제와 군사 파시즘 - 1960, 1970년대
 제1장 미국의 동북아 정책과 한국사회 / 김광덕 = 217
  1. 미국의 동북아 정책 및 대한 정책 = 217
   지역 통합 전략 = 217
   콜론 보고서 = 219
  2. 자본 축적의 위기 = 220
   원조 감소 = 220
  3. 민중들의 생활 = 222
   도시와 농촌 = 222
  4. 4·19와 장면 정권 = 223
   무능한 2공화국 = 223
   부정 축재 미온 처리 = 224
   민족 민주 운동 = 225
  5. 군사 쿠데타의 과정 = 226
   발발 배경 = 226
   권력 장악 = 227
  6. 미국과의 관계 = 228
   5·16과 미국 = 228
   미국의 반응 = 229
  7. 국가 기구의 정비 및 강화 = 231
   중앙 정보부 창설 = 231
   경제 기획원 발족 = 232
   공화당 창당 = 232
  8. 5·16직후 군사 파시즘의 정책 = 233
   고리채 정리 = 233
   독점 자본 재편 = 234
  9. 제1차 경제 개발 계획 = 235
   지도받는 자본주의 = 235
   종속적 자본축적 = 236
  10. 한국 국교 정상화와 베트남 파병 = 238
   한일 회담 = 238
   베트남 파병 = 238
  11. 민중에 대한 통제 = 239
   반공과 억압 = 239
 제2장 종속적 자본축적과 그 귀결 / 임휘철 = 241
  1. 경제 성장과 경제 위기 = 241
   60, 70년대의 특징 = 241
  2. 60, 70년대 한국 자본주의의 순환 = 242
   60, 70년대 자본순환 = 242
   고도 성장과 독점 강화 = 244
  3. '경제개발계획'과 종속적 자본축적 - 1960년대 = 245
   국가 개입 경제 = 245
   원조 감소와 외자 도입 = 246
   과잉 축적과 공황 = 247
  4. '유신체제'와 중화학 공업화 = 249
   축적 위기와 '유신' = 249
   미일의 지배전략과 중화학 공업화 = 251
  5. 중화학 공업화의 성과와 모순 = 252
   고도 성장 = 252
   외채 위기와 노동 강화 = 253
   한미일 분업 연관 = 255
   경제 종속 = 256
   독점 대기업의 경제 지배 = 258
  6. 중화학 공업화의 귀결 = 259
   '79∼80년 경제 위기' = 259
 제3장 일본 독점 자본의 한국진출 / 전창환 = 262
  1. 한일 경제 관계의 재구축 = 262
   미국의 지배전략 변화 = 262
   로스토우·밀리칸 노선 = 263
   일본의 경제성장 = 264
   수출주도형 공업화 = 266
  2. 한일 경제 유착 = 268
   외자 도입 = 268
   직접 투자 유치 = 269
   일본 기술 도입의 급증 = 271
  3. 국제분업 구조의 재편 = 272
   미일 : 첨단 산업 = 272
   한국 : 하청 산업 = 273
  4. 국제적 하청 생산의 진전 = 274
   새로운 국제분업 = 274
  5. 일본의 '아시아 태평양 경제권 구상' 속에서의 한국 = 276
 제4장 사회계급 구조의 변화와 민족 민주 운동 / 허상수 = 279
  1. 군사 쿠데타와 사회변동 = 279
   민주화의 좌절 = 279
  2. 계급 구조의 변화 = 280
   노동자 계급의 성장 = 280
   농민 계층의 하강 분해 = 282
   도시 빈민 = 283
  3. 60년대의 민족 민주 운동 = 285
   민주화 운동 = 285
   통일 운동 = 286
   민족 운동 = 287
  4. 70년대의 민족 민주 운동 = 288
   운동의 특징 = 288
   민중 운동 = 290
   통일 운동 = 293
   외세 극복의 과제 = 295
제4부 신식민지 파시즘과 5공화국 - 1980년대
 제1장 광주 민주 항쟁 / 김창진 ; 김광일 = 311
  1. 한국 자본주의와 지역적 불균형 발전 = 311
   항쟁의 조건 = 311
  2. 계급 구성의 편차와 항쟁 주체의 형성 = 314
   상대적 미분화 = 314
   노동계급 = 316
   농민 = 318
   중소 부르조아지 = 318
   중산층의 이탈 = 319
   지역의식 = 320
   지역 의식의 한계 = 321
  3. 항쟁의 발발과 무장투쟁 = 323
   반동의 서막 = 323
   광주와 신군부 = 324
   광주와 미국 = 325
   전개 과정 = 326
   무장투쟁과 지도부 = 327
  4. 광주 민중 항쟁의 성격과 역사적 의의 = 328
   반제 반독점 민족 민주 운동 = 328
   의의 = 330
 제2장 80년대 한국경제 / 정건화 = 331
  1. 80년대 개관 = 331
   본격화한 개방 = 331
   축적 과정의 특징 = 334
  2. 축적 체제의 재편 = 335
   축적 체제의 위기 = 335
   경제 안정화 정책 = 337
   금융 긴축과 노동 강화 = 339
  3. 개방 정책과 산업 구조 조정 = 342
   개방 정책 = 342
   국제 분업에 편입 = 344
   산업 구조 조정 = 345
  4. 자본 축적 구조의 변화 = 347
   산업 구성의 변화 = 347
   재생산 구조의 특징 = 349
   독점 자본 강화 = 351
   종속적 재생산 구조 = 352
   부동산 투기와 자본 축적 = 354
 제3장 민족 민주 운동의 고양과 5공화국의 몰락 / 정해구 = 357
  1. 5공화국 정권의 체제 정비 = 358
   정치 체제 정비 = 358
   경제 체제 정비와 사회 통제 = 360
   운동의 새로운 준비 = 361
  2. 유화 국면과 민족 민주 세력의 강화 = 363
   유화 국면 = 363
   학생 운동 = 364
   민주 노동 운동 = 365
   생존권 투쟁 = 366
   2·12총선거 = 367
 3. 개헌 정국과 5공화국 정권의 몰락 = 368
  개헌 정국 = 368
  개헌 운동 = 369
  개헌 노선의 분화 = 370
  '이민우 구상' = 371
  재야 운동 탄압 = 372
  4·13호헌 조치 = 373
  6월 항쟁 = 374
  6·29 선언 = 376
 4. 분할 지배 전략과 민주 정부 수립의 좌절 = 376
  분할 지배 전략 = 376
  기층 민중과 중산층의 분리 = 377
  야권·재야의 분열 = 379
  좌절된 민주 정부 수립 = 380
제5부 노동 운동의 고양과 6공화국
 제1장 6공화국의 정치체제 / 고성국 = 391
  1. 6·29선언으로 시작된 6공화국 = 391
   계산된 도박 = 391
   노동자 대투쟁 = 393
   분열과 패배 = 395
  2. 6공화국의 과도기적 성격 = 396
   새로운 국제 역학 = 396
   미국의 패권주의 = 398
   남북 관계의 변화 = 400
   독점 자본의 지배력 강화 = 403
   패권적 지배 구조 확립 = 405
   미국의 전략과 6공화국 = 407
  3. 6공화국의 정치적 성격 = 409
   5공화국의 연장 = 409
   지배방식의 외형적 변화 = 412
   신식민지 파시즘과 민선 민간 정부 = 414
 제2장 6공화국의 경제 정책 / 정태인 = 418
  1. 세계 경제의 기조와 한국 경제의 위치 = 419
   새로운 국제 분업 = 419
  2. 소공황 후 불안정한 회복 = 422
   과잉 생산 공황 = 422
   공황의 성격 = 425
   시기 구분 = 429
  3. 호황과 '의사 개량화'(1988. 1∼1988. 11) = 430
   경제 개방 = 430
   경제 민주화 = 431
  4. 노동 운동 탄압과 경제 개혁의 무력화(1988. 12∼1989. 11) = 433
   모순의 민중 전가 = 433
   일관된 노동자 탄압 = 434
  5. 경제 개혁의 폐기와 '총체적 난국'(1989. 12∼) = 437
   성장 정책 = 437
   경제 개혁 폐기 = 438
   '총체적 난국' = 439
   5·8특별 대책 = 440
  6. 90∼91년 경제 성장의 평가 = 441
   빗나간 경제 예측 = 441
   건설, 설비 투자 주도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 = 441
   국제 수지 적자의 내용 = 442
   대기업 위주의 산업 금융 정책 = 443
   인플레 성장 정책과 민중 생존권의 위기 = 445
맺음말 - 현대사와 민족 민주 운동 / 박현채 =  453
 1. 현대사와 민족 민주 운동 = 453
 2. 일제 식민지 치하 한국 사회의 성격 규정과 민족 민주 운동의 과제 = 455
 3. 현실 사회의 성격 규정과 민족 민주 운동의 과제 = 461
 4. 민족 민주 운동이 오늘의 상황에서 추구해야 할 과제 = 464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